
은퇴 후 안정적인 노후자금 마련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부부간의 화목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은퇴한 남편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부부 갈등이 심화되고, 이는 중년 및 황혼 이혼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중년·황혼 이혼 비율이 증가하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의 경험에 따르면, 정년 보장과 연금을 받는 공무원들조차 퇴직 후 ‘절벽 위에 서 있는 기분’이라고 토로한다. 은퇴 후 특별한 활동 없이 집에만 머무는 고위직 공무원 A씨는 3개월 만에 답답함과 함께 아내의 눈치를 보는 것이 가장 힘들었다고 수기를 통해 밝혔다. A씨는 ‘노노(老老) 케어’ 일자리인 주간노인보호센터에서 하루 5~6시간 일하며 월 70만 원과 건강보험료 30만 원을 절약하는 등,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통해 무기력함에서 벗어나고 아내와의 관계도 개선되는 경험을 했다.
이러한 남편의 ‘집콕’ 현상은 부부간의 불편함을 야기한다. 퇴직한 남편이 낮 동안 집에 있으면 아내는 남편의 수발을 들어야 하는 부담감과 속박감을 느끼며, 서투르거나 잔소리하는 남편 때문에 짜증을 느끼기도 한다. 반면 남편은 아내가 힘들어하는 모습에 미안함을 느끼고, 사소한 실수로 핀잔을 들으면 서글픔까지 느끼는 등 서로 불편함을 겪는다.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20년 앞서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남편재택 스트레스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생겨날 정도로 남편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는 남편이 퇴직 전에는 각자 분단된 세계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배우자의 사정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았지만, 은퇴 후 남편이 집에 계속 머물게 되면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성격이나 생활 습관이 아내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우울증, 고혈압 등 다양한 건강 이상 증상으로 나타나며, ‘부원병(夫源病)’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20년 이상 혼인 지속 기간을 가진 중년·황혼 이혼 비율이 1990년 14%에서 2023년 23%로 증가했으며,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이혼의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추세에서 자유롭지 않다. 지난 20여 년간 전체 이혼율은 낮아졌지만, 중년·황혼 이혼의 비율은 1990년 5%에서 2023년 36%로 급증했다. 이러한 현상 배경에는 퇴직 후 발생하는 부부 갈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노후 설계 전문가들은 퇴직을 앞둔 부부들에게 부부 화목을 위한 특별한 노력을 당부하며, 특히 낮 동안은 부부 각자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것을 권유한다. 일본에서는 ‘낮에는 집에 없는 남편’이 가장 인기 있는 남편 유형으로 꼽힐 정도이다.
따라서 퇴직 후에는 노후자금 마련과 더불어 부부 화목을 위한 인식 전환이 절실하다. 부부 모두 은퇴 후를 대비하여 수입 활동, 사회공헌활동, 취미 활동 등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