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학교는 3D 프린터기부터 용접 기구, 스프레이 실까지 다채로운 교내 실습 기자재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장비를 안전하게 대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labs.go.kr)에서 주관하는 ‘연구실안전교육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의무적으로 안전사고 예방 강의를 수료해야 한다. 이는 실습용 기구 중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기계가 많기 때문에, 사고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절차이다. 학과 특성상 작품 제작 활동이 잦아 올해에도 어김없이 안전 교육을 이수하던 중, ‘2025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가 떠올랐다.
‘2025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는 9월 17일부터 9월 19일까지 개최되었다. 평소 우리 주변에서 흔히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평소에도 가지고 있었지만, 강의 수강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행사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게 되었다.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이 박람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안전산업 전문 전시회로, 기술, 제품, 교육 등 재난 관련 품목을 소개함으로써 국민의 재난 대응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행사에는 국내외 업계 종사자,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관계자 등 다양한 국내외 바이어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전시 품목은 화재, 산사태, 침수, 지진, 생활안전, 보안 및 치안, 산업안전, 교통 및 해양안전 등 총 8개 분야를 아우른다. 이는 관람객에게는 첨단 기술과 제품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국내외 홍보를 통해 안전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사전 신청을 통해 2025 안전산업박람회 현장을 방문한 결과, 행사 첫날인 9월 17일, 킨텍스는 안전산업박람회에 참여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로 북적였다. 입구부터 약 1천 개의 재난 안전 기업 부스가 운영되고 있었으며, 코레일, 한국도로공사 등 우리 주변에서 익숙하게 접하는 기업들의 부스도 전시되어 있었다. 분말소화기, 화재 대피용 마스크, 응급처치 장비 키트 제조사 등 일상생활 속 다양한 기업의 재난 안전 제품들을 직접 보고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기업 소개와 더불어, 참관객의 원활한 참여를 위한 다양한 행사들이 진행되고 있어 부담 없이 기업의 제품을 살펴보고 학습할 수 있었다. 특히, 참관객이 진입장벽을 느끼지 않고 다가올 수 있도록 참여형 행사를 함께 진행하는 부스가 많아 몰입감 있게 둘러볼 수 있었다. 평소 안전 관련 강의를 꾸준히 듣던 학생의 입장에서, 재난 안전이라는 다소 진중하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주제가 이러한 참여형 방식을 통해 부담 없이 다가갈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콘센트와 멀티탭처럼 전류를 차단하여 화재 및 전기 누전을 예방하는 제품들을 한곳에서 모아보고, 그 정확한 쓰임과 가이드를 살펴볼 수 있었다. 너무 익숙해서 쉽게 지나치곤 하는 이러한 제품들이 실생활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분말소화기와 같이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제품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정확한 사용법을 되새길 수 있었다. 또한, 재난 분야별 기업의 다양한 제품 전시와 더불어 인공지능(AI), 드론과 같은 첨단 기술 시연이 한 자리에서 이루어져 볼거리가 풍성했다. 기업의 제품과 관련하여 국민안전진흥원, 한국어린이안전재단 등에서 발표한 안전교육 매뉴얼 표지를 함께 볼 수 있어 교육 효과가 더욱 뛰어났다.
2025 안전산업박람회는 단순히 안전 제품을 둘러보는 데 그치지 않고, 위급 상황 행동 강령을 곳곳에 배치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다. 특히, 참관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안전체험마을’ 프로그램은 완강기 사용법, 소화기 사용법, 수상 안전, 비상구 대피 방법, 재난 예방 안전, 가스 안전 등 다양한 재난 대응 방법을 눈으로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소화기나 완강기처럼 주변에 흔히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 사용 경험이 적어 잊어버리기 쉬운 안전 기구들의 정확한 사용법을 직접 배우고, 우리 주변의 안전 제품을 좀 더 깊이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다. 대피와 더불어 응급처치 매뉴얼 또한 큼직한 그림과 함께 비치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숙지할 수 있었다.
부스와 더불어, 참관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소도 마련되어 비상구 탈출법, 화재 대피 체험 등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장체험학습은 실제 위기가 닥쳤을 때 공황에 빠지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할 확률을 높여줄 것이라는 점에 깊은 공감을 얻었다. 심폐소생술 방법부터 완강기 사용법, 화재 대피 체험 등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럽게 마주칠 수 있는 다양한 재난 상황 시뮬레이션은 많은 이들의 주의를 끌었다. 특히, 여러 유치원에서 온 어린이 참관객들이 선생님과 함께 안전 대피 훈련에 대해 배우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 어린 참가자들이 화재 상황을 연출한 연기를 보며 무서움을 느끼고,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과 실제 체험 사이의 막막함을 이야기하는 모습에서 안전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이처럼 실생활에서 재난이 발생했을 때, 안전 대책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람은 쉽게 공황 상태에 빠질 수 있다. 남녀노소 누구나 재난 안전 예방책을 직접 참관하고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2025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는 매우 값진 행사였다.
박람회 기업 부스에서 다양한 기념품과 키트를 얻을 수 있었으며, 실생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안전 제품들을 돌아보고 환기할 수 있었던 값진 시간이었다. 여름이 끝나가며 날씨가 갑작스럽게 변하는 환절기에는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일상생활을 언제, 어떻게 위협할지 모르는 안전사고 예방책을 미리 알아두고, 재난 안전 제품이 잘 갖춰져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