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상향된 수치다. 더불어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 성장이 예상된다. 이러한 전망은 한국 경제가 내년에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준다. 이는 한국 경제가 직면한 성장 둔화라는 문제점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IMF가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전 세계 경제 성장률은 올해 3.2%, 내년 3.1%로 예측되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올해 성장률이 0.2%p 상향된 것으로,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선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은 1.6%로 지난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 역시 1.6%로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미국 경제는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씩 상향 조정된 2.0%, 2.1% 성장이 예상된다. 신흥개도국 그룹은 올해 4.2%, 내년 4.0%로 전망되며,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4.8%, 4.2%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 요인이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잠재적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화,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IMF는 전망했다. 한국 경제 역시 이러한 글로벌 흐름 속에서 성장률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으나, 대외 불확실성 요인에 대한 면밀한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