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이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 키갈리에서 개최된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기술이사회(TMB, Technical Management Board)에 연임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러한 연임은 국제사회가 한국의 기술 표준화 역량을 다시 한번 인정했다는 의미이며, 이를 통해 한국은 2028년까지 기술이사회 국가로서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기술이사회(TMB)는 ISO 내에서 신규 표준 위원회의 설립 및 해산, 기존 표준 위원회 간의 업무 조정, 그리고 의장국 임명 등 ISO의 전반적인 표준화 활동을 실질적으로 조율하는 매우 중요한 의사 결정 기구이다. 한국이 이곳에 연임하게 됨으로써, 국제 표준화 동향을 주도하고 한국의 기술적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게 된 것이다.
이번 총회에서 한국은 단순히 연임에 만족하지 않고, 미래 핵심 기술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특히,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의 새로운 표준 위원회 설립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워크숍을 직접 주관하며 ISO 회원국들의 지지를 요청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한국이 보유한 혁신 기술을 국제 표준으로 선도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의 표준화 기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노력도 병행했다. 더 나아가, 오는 12월 개최될 ‘국제 AI 표준 서밋’에 주요 인사들의 참여를 요청하며 인공지능 분야의 국제 표준 논의를 주도하려는 움직임도 보였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번 기술이사회 연임을 통해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국제 표준화기구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적극적인 국제 표준화 활동은 한국의 첨단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추고, 미래 산업의 표준을 선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