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동 시장은 젊은 인구 구조와 높은 성장률, 적극적인 투자유치 환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UAE는 중동 지역 진출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 디지털 기업들의 해외 시장 진출 수요가 매우 높은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한국의 차세대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 특히 인공지능(AI)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수출 판로 확대를 위한 노력이 구체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지난 13일과 14일 이틀간 UAE 두바이에서 민관합동으로 중동 디지털 수출개척단 활동을 진행하며 이러한 목표 달성에 박차를 가했다. 이번 활동은 2023년 시작 이후 세 번째로, NIPA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이 주관하여 총 67개 기업이 GITEX Global 및 GITEX Expand North Star에 한국 디지털 공동관을 운영하며 AI를 비롯한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선보였다. 이는 한국 디지털 기업의 역량을 세계에 알리고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수출개척단 활동의 일환으로 개최된 한-중동 비즈니스 파트너십 행사에서는 5건의 수출 계약과 기업 간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500만 달러 규모의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한국과 중동 간 디지털 분야 협력의 높은 잠재력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한국 기업들이 중동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인피니트헬스케어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계약 체결, 웨이즈원의 실시간 교통정보 통합관리 솔루션 및 포시에스의 스마트 페이퍼리스 솔루션에 대한 MOU 체결 등은 양국 간 협력의 폭을 넓히는 구체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또한, 이번 행사는 한국과 중동의 주요 디지털 기업 관계자를 초청한 한-UAE AI 포럼 개최를 통해 AI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도 활용되었다. 김득중 NIPA 부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AI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이 글로벌 인공지능 강국을 위한 혁신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AI 반도체가 AI 경쟁력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로서, 양국이 소버린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반드시 협력해야 할 분야”라고 언급했다. 김태호 노타AI CTO 역시 “AI가 중동에서도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실질적인 도구로 활용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현지 전문가들의 높은 관심을 이끌어냈다.
이와 더불어 14일에는 현지 진출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는 UAE IT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중동 시장 진출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지난 6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이어 이번 중동 지역까지 수출개척단 활동을 통해 국내 AI·디지털 기업이 해외 홍보를 넘어 실질적인 계약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AI·디지털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한국 디지털 기업의 중동 시장 공략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