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류의 거침없는 글로벌 성공가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그 이면에 드리워진 내부적인 차별 문제는 한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BTS, <오징어게임>, <기생충>을 넘어 블랙핑크, 세븐틴, NCT 등은 이미 BTS의 앨범 판매 기록을 경신했으며, 특히 스트레이 키즈는 7개 앨범 연속 빌보드 Top 200 1위라는 전무후무한 신기록을 세우며 케이팝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이러한 성공은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2000만 명 돌파라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한국 관광 산업의 밝은 미래를 예고한다.
그러나 한국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 방문한 외국 관광객들은 거리에서 펼쳐지는 과격한 혐중 시위와 같은 차별적인 현실을 목격하며 충격을 받고 있다. 명동, 광화문 등 도심에서 상시적으로 벌어지는 이러한 시위는 한국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한류를 접했던 팬들에게는 예상치 못한 ‘문제’로 다가오며, 한국의 이면에 대한 놀라움과 실망감을 안겨주고 있다. 더 나아가, 한국 콘텐츠 내부에 표출되는 인종주의적 감수성이나 젠더 표현에 대한 논란 역시 세계적인 한류 팬들의 민감한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아이돌 문화 속에서 제기되는 새로운 남성성, 여성성에 대한 논의나 케이뷰티의 미백 논란은 인종과 피부색주의에 대한 복잡한 질문으로 이어지며, 이는 한국이 직면한 ‘차별’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이러한 한류 현상을 ‘밑에서부터의 세계화’라고 분석하며, 그 성공의 핵심 동력으로 선한 영향력, 배려, 연대, 돌봄, 겸손의 태도, 그리고 공동체의 가치를 강조한다. 이러한 가치들은 한국이 겪어온 압축성장의 역사와 그 속에서 드러나는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노력, 그리고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이룬 독특한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의 픽션물들은 인간성의 상실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며 선진국 시청자들에게는 성찰의 기회를, 개발도상국들에게는 극복의 모델을 제시한다.
하지만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과 ‘차별’이라는 내부의 적과의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지난 십수년간 제자리걸음인 ‘차별금지법’ 제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법적, 제도적 장치는 한국 사회 전반에 만연한 인종주의, 성차별, 혐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모든 구성원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는 단순히 한류의 미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미래를 위한 ‘솔루션’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한류가 지금껏 쌓아온 글로벌한 위상과 매력은 한국이 내부적으로 겪는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세계와 공유하려는 끊임없는 노력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되고 대한민국이 진정한 글로벌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적이라 할 수 있는 ‘차별’과의 싸움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통해 우리 안의 불평등과 혐오를 해소하는 것은, 한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대한민국 미래의 ‘기대효과’를 극대화하는 결정적인 발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