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토니상 6관왕 소식은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가 이룬 눈부신 성취를 다시 한번 입증한다. 사계에 에미상, 그래미상, 오스카상, 토니상을 모두 수상하는 EGOT를 한국 작품이 완성하고 있다는 점은 한류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하게 하는 중요한 지표다. 이러한 고무적인 성과를 맞아, 28년 전 한국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에서 방영되며 촉발한 한류의 시작점을 되짚어보는 것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이는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는 것을 넘어, 현재의 성공이 뿌리내린 근본적인 배경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조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한류의 정확한 기원을 둘러싼 학계의 논의는 분분하다. 드라마 <질투>가 방영된 1993년, 영화 <쥬라기 공원> 아젠다가 등장한 1994년, SM 출범과 CJENM의 영상 산업 진출, 뮤지컬 <명성황후> 초연 등이 있었던 1995년 등 다양한 설이 제기되고 있다. 심지어 중국에서 ‘한류(流)’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1999년 11월 19일을 기원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들 중 가장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기원으로 꼽히는 것은 1997년 6월 15일, 중국 CCTV에서 방영된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다. 이 드라마는 1991년 11월부터 1992년 5월까지 MBC에서 방송된 55부작 주말 드라마로, 당시 한국에서 최고 시청률 64.9%를 기록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사랑이 뭐길래>가 한류의 기원으로 강력하게 지목되는 이유는 그 파급력과 상징성에 있다. 이 드라마는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중국에서 가장 큰 반향을 일으킨 한국 드라마로 기록된다. 매주 일요일 아침, 한국의 대가족을 담은 이 드라마는 중국 시청률 4.2%, 평균 시청자 수 1억 명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남기며 중국 전역에 한국 문화를 각인시켰다. 종영 후에도 재방송 요청이 쇄도했으며, CCTV는 2차 방영권까지 구입해 1998년 저녁 시간대에 다시 편성하는 이례적인 일을 벌였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 중국 내에서 서구 문화에 대한 경계심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한국 문화를 대체재로 소비하려는 의도가 작용했다는 분석도 있다. 이처럼 ‘용어가 나오기 이전’에 이미 실행으로서, 그리고 현상으로서의 한류가 <사랑이 뭐길래>를 통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1997년 6월 15일은 한류 역사의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이처럼 <사랑이 뭐길래>를 한류의 기원으로 볼 경우, 한국 대중문화의 역사는 현재까지 28년이 된다. 이는 한 세대라는 짧지 않은 시간이지만, 시대 구분점으로는 의미 있는 지점이다. 지난 2023년부터 ‘한류 30년’ 논의가 꾸준히 제기되어 온 것처럼, 한국인들은 한류를 통해 ‘0.7퍼센트의 반란’, ‘단군 이래 최대 이벤트’를 이룬 것에 대한 인정 욕구를 보여왔다. 하지만 마크 피터슨 교수의 지적처럼, 이러한 성과 이면에는 가난과 부정적 이미지를 극복하고자 하는 한국인의 강한 열망이 내재되어 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일정 수준 이상의 한류 확산에 제동을 걸어왔으며, 사드(THAAD) 사태를 빌미로 ‘한한령’이라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한한령에도 불구하고, 혹은 그 덕분에, 한류와 K-콘텐츠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드라마 <오징어 게임> 등은 중국 시장과 무관하게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한류의 킬러 콘텐츠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한류의 세계화가 중국 당국의 의도와는 별개로, 문화 콘텐츠 현장의 창작자들이 치열하게 노력한 결과임을 방증한다.
<사랑이 뭐길래>를 통해 중국에서 점화된 한류는 한국 대중문화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는 계기였다. 당시 일부에서 폄하되던 한국 드라마와 가요가 높은 완성도와 보편적인 소구력, 치열한 내부 경쟁을 통해 형성된 제작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후 영상 콘텐츠는 <겨울연가>,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를 거쳐 <기생충>, <오징어 게임>으로 폭발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 K팝 또한 2011년 SM의 파리 공연을 시작으로 BTS, 블랙핑크, 스트레이키즈, 세븐틴 등이 세계 음악 시장에 불멸의 금자탑을 쌓고 있다.
최근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상 6관왕을 차지한 것은 이러한 한류 성공 서사의 정점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대학로에서 시작된 이 공연 예술 콘텐츠가 세계 최고 권위의 시상식에서 6관왕을 석권한 것은, 과거 EGOT라는 단어를 한국 작품과 연관 짓는 것이 ‘넘사벽’으로 여겨졌던 현실을 극복하고, 이제는 EGOT 완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28년 전 <사랑이 뭐길래>의 방영으로 시작된 한류의 작은 불씨가 오늘날 세계를 뜨겁게 달구는 거대한 문화 현상으로 성장했다는 사실은, 앞으로 한국 대중문화가 써 내려갈 또 다른 성공 스토리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