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일 폭염이 이어진 29일 오후 대구 남구 앞산 고산골에서 시민들이 쿨링포그가 가동된 등산로를 걷고 있다.
연중 가장 많은 등산사고가 발생하는 10월 단풍철을 맞아 행정안전부가 등산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가을 단풍의 절정을 맞아 산을 찾는 발길이 이어지지만, 이는 곧 실족이나 조난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증가로 직결된다는 분석이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발생한 등산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10월에는 총 3,445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인명 피해만 1,370명에 달했다. 이는 연중 가장 높은 수치로, 가을철 산행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사고 원인으로는 실족이 3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조난(26%), 지병 등으로 인한 신체 질환(18%) 순으로 나타났다. 아름다운 단풍에 취해 방심하거나, 예상치 못한 지형지물로 인한 실족, 혹은 일몰 시간 임박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고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실질적인 안전 수칙 준수를 강조하고 있다. 우선, 산행에 나서기 전에는 반드시 등산 소요 시간, 대피소 위치, 그리고 가장 중요한 날씨 정보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체력 수준에 맞는 등산로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산행 중 몸에 무리가 느껴진다면 지체 없이 하산해야 한다. 특히 산행 경험이 적은 경우, 평소 체력 관리에 더욱 신경 쓰고, 출입이 통제된 위험·금지 구역에는 절대 발을 들여서는 안 된다.
이와 더불어, 지정된 등산로를 벗어나 샛길로 이탈하는 행동은 조난 사고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가능하면 혼자보다는 일행과 함께 산행하는 것이 안전하며, 만약 길을 잃었을 경우에는 당황하지 않고 왔던 길을 따라 되돌아가 아는 지점까지 복귀해야 한다. 구조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등산로 곳곳에 설치된 산악위치표지판이나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가을철에는 해가 일찍 저물기 때문에 조난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아침 일찍 산행을 시작하여 해가 지기 1~2시간 전에는 산행을 마치는 것이 안전하다.
황기연 행정안전부 예방정책국장은 “10월 단풍철에는 평소 산을 찾지 않던 사람들도 단풍을 즐기기 위해 산에 오르는 경우가 많아 사고 예방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가까운 산이라 할지라도 미리 행선지를 주변에 알리고, 제시된 안전수칙을 철저히 숙지하여 안전하게 가을 단풍을 만끽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적극적인 당부와 함께, 안전한 단풍철 산행을 위한 정보 제공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