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독서의 날을 맞아 개최된 ‘2025 출판산업포럼: AI와 출판, 상상 그 이상의 미래’는 인공지능이라는 최신 기술과 오랜 역사를 지닌 출판 산업의 만남이 야기할 미래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했다. 그러나 현장의 뜨거운 열기 속에서 참석자들은 기술 발전의 이면에 가려질 수 있는 출판 본연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바로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글은 결국 사람이 써 내려간다는 지극히 인간적인 진실이다.
포럼은 ‘AI와 출판’이라는 주제 아래, 인공지능이 텍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편집 과정을 효율화하는 방안,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독자 분석과 맞춤형 출판 전략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들의 시각을 공유했다. 인공지능을 단순한 대체 기술이 아닌, 출판 업계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려는 시도들이 주목받았다. 이러한 논의들은 출판 산업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발표가 진행되는 동안, 혹은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포럼에 참여한 많은 이들이 공감한 핵심적인 메시지는 기술의 한계와 인간 고유의 영역에 대한 것이었다. 인공지능이 초고를 작성하거나 자료를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인간만이 고유한 경험과 감정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창조하고 독자에게 깊은 울림을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이 여러 차례 강조되었다. 글 속에 담긴 온기와 맥락,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감은 기계가 흉내 낼 수 없는 출판의 본질이며, 이는 앞으로의 출판 산업에서도 변치 않을 핵심 가치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번 포럼은 선착순 마감으로 현장 참석이 어려웠던 이들도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었다. 온라인 참여자들은 실시간 채팅창을 통해 발표 내용에 대한 반응을 공유하고, 질문과 의견을 나누며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참여감을 느꼈다. 또한, 포럼 자료를 온라인으로 배포하여 필기가 용이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더 많은 사람들이 출판 산업의 미래에 대한 논의에 쉽게 참여할 수 있었다. 이는 출판산업포럼의 의미를 더욱 폭넓게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궁극적으로 ‘2025 출판산업포럼’은 단순한 현황 점검을 넘어, 독자와 창작자, 기술과 산업이 어떻게 조화롭게 어우러져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인공지능은 출판 산업에 있어 위기이자 기회일 수 있지만, 이번 포럼의 논의는 이를 이분법적으로 접근하기보다 사람과 기술의 협력을 통해 더 풍부한 이야기를 더 많은 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된 이 포럼은, 급변하는 인공지능 시대 속에서도 글쓰기의 본질과 힘, 그리고 인간적인 교감이 출판의 미래를 이끌어갈 핵심 동력임을 재확인시켜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