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이 당초 예상보다 소폭 개선될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이 나왔다. 이는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실물 경제가 바닥을 다지고 점진적인 회복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IMF는 기획재정부가 지난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을 0.9%로 예상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상향 조정된 수치다.
이번 성장률 상향 조정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고, 한국 경제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에 기반한다.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재고 조정과 무역 경로 재편을 통한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 강화,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의 요인을 반영한 결과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 속에서 한국 경제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로 전망하며, 이는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전망은 향후 경기 회복세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미국 경제는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각각 2.0%, 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중국, 인도 등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어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에 대한 기대감도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IMF는 여전히 세계 경제에 하방 요인이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이 제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는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화,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해 볼 때, 한국 경제는 당분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내년에는 잠재 성장 수준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지만, 대외 불확실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구조적인 경쟁력 강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