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민족 고유의 문자를 넘어 K-문화의 강력한 원천으로서 전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더욱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한글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정책적 의지를 피력했다.
현재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는 한글이 더 이상 한국만의 문자가 아닌, 세계인이 함께 향유하는 문화적 매개체로 자리 잡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긍정적인 현상에도 불구하고, 한글의 보편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세계인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K-팝의 가사,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고 감동을 전하는 데 우리말과 글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큰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흐름을 주도면밀하게 관리하고 지원하는 시스템 강화는 시급한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김 총리는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의 명확성과 아름다움을 제고하고, 내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고,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 시대에 발맞춰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여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한글 경쟁력 강화에도 힘쓸 것을 예고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들은 한글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K-문화의 지속적인 확산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APEC에서 ‘초격차 K-APEC’을 지향하며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은, 한글이 글로벌 문화 콘텐츠로서 갖는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유네스코가 문맹 퇴치 공로자에게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는 것처럼, 한글이 가진 인류애적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책무임을 시사한다. 과거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지켜낸 민족의 정신적 버팀목으로서의 한글의 역사를 기억하며, 이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한글의 미래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과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