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 언론의 문화 비평란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기존 한류 현상의 범주를 넘어 글로벌 문화가 로컬을 창의적으로 전용하는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기록적인 성공을 거두며 K-콘텐츠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린 ‘케데헌’은 단순한 인기 현상을 넘어, 한국 문화산업의 가능성과 미래를 시사하는 중요한 사례로 분석된다.
‘케데헌’의 등장은 한국 문화산업이 마주한 근본적인 과제, 즉 어떻게 한국적 정서를 담으면서도 전 세계 시청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소니의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귀마 사냥꾼’들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구현한 점, 그리고 시청자들의 몰입과 참여를 유도하는 텍스트 전략, 디테일이 살아있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리고 K-팝의 폭발적인 에너지가 절묘하게 조화된 결과물이다.
무엇보다 ‘케데헌’은 애니메이션이라는 표현 양식을 통해 비서구 문화의 오랜 숙제였던 ‘몸’의 제약을 넘어설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과거 K-팝이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문화적 장벽에 가로막혀 팬덤의 영역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케데헌’은 인종적 복잡성을 초월한 그림체로 전 세계 시청자들이 쉽게 공감하고 코스프레까지 시도할 수 있는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이는 플레이브,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정도로 캐릭터 문화가 발전한 K-팝 생태계와 맞물려, ‘케데헌’의 캐릭터들이 세계관을 부여받고 글로벌 K-팝 무대에 성공적으로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왔다.
K-팝 문화에서 그룹의 ‘세계관’, 즉 서사는 단순히 인기를 넘어 팬덤을 심화시키고 그룹 간의 차별화된 정체성을 구축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케데헌’은 이러한 서사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인간 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을 지닌 주인공과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을 중심으로 걸그룹 및 보이그룹을 등장시키며, 이는 기존 디즈니의 ‘자아 발견 공주 이야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개인 성장 모험 스토리’, DC와 마블의 ‘우주 대전쟁’ 등과는 차별화된 이국적이고 매력적인 서사로 평가받고 있다.
‘케데헌’은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이어질 수 있는 개방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동시대적 스토리 라인인 ‘헌터스의 세계 투어 중 로컬 귀마들과의 싸움’을 통해 다채로운 로컬 버전 제작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 외에도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잠재력을 일깨워주고 있다. 북미 지역의 한인 2세 원작자 및 제작자들이 참여하여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을 녹여낸 ‘케데헌’은 글로벌 시장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적 중재(mediation)’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세계사를 한국인의 경험으로 포괄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케데헌’은 이러한 한국의 디아스포라 역사가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촉발하며, K-콘텐츠가 또 다른 세계로 나아가는 문을 열었음을 증명하고 있다.
◆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한류 연구자로서 기호학적 관점에서 세상 속 의미 생산을 탐구하고 있으며, ‘세계화와 디지털문화시대의 한류’, ‘드라마의 모든 것’, ‘BTS 길 위에서’ 등을 출간하고 넷플릭스, 한국 문화산업, 한류 현상 이론화 연구를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