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게임의 재미를 넘어, 국가 경제를 견인할 핵심 동력으로 게임 산업을 재인식하고, 동시에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 속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월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를 방문하여 ‘세계 3위의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날 간담회의 배경에는 게임 산업에 대한 사회 전반의 낮은 인식과 이로 인한 성장 동력 약화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자리 잡고 있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 전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의 몰입도와 가능성에 깊은 관심을 표했다. 그는 ‘인조이’에 대해 “다른 사람의 세계도 볼 수 있는 것이냐”, “이 세계에서 차 하나를 사려면 몇 시간 일해야 되느냐”라며 게임의 사회경제적 함의를 탐색하는 등, 게임을 단순한 오락거리로 치부하는 기존의 편견을 허물려는 노력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며, 문화산업의 중요한 축으로서 게임 분야의 잠재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으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했다. 또한, 이를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하며, 정부의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게임 업계가 줄곧 요구해온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해서는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개발자, 사업자의 요구와 함께 고용된 노동자들이 혹여라도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간과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는 복잡하게 얽힌 게임 산업의 노동 환경 문제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과 함께, 모든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균형 있게 반영하여 지혜롭게 해결책을 찾아나가겠다는 ‘솔루션’ 제시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이어진 비공개 토의에서도 다양한 관계자들이 게임 산업의 진흥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AI 기술 등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생기고 있음을 언급하며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 필요성을 강조했고,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을 전략 품목으로 삼아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작은 규모의 지원이라도 보다 많은 팀들에게 제공되면 효과적일 수 있다”는 현실적인 제안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이러한 의견들을 경청하며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 문화콘텐츠 수출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및 멀티 유즈 여부 등 다양한 측면을 꼼꼼히 짚어나가며 지원 확충이나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대한민국 게임 산업은 과거의 낡은 인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국제 사회에서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이라는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와 업계가 긴밀히 협력하여 산적한 문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고, 게임 산업이 국가 경제 발전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