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30일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을 방문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전산장애 대응 행정민원서비스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에 중대한 장애가 발생하며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119안전신고와 같은 필수적인 행정 서비스마저 중단되면서 안전 및 재난 관리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국가 기록물 접근이 불가능해지면서 정보 접근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시스템 복구를 넘어,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핵심 행정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 회의를 열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신속한 정상화를 위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 결과, 2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국민 안전과 직결된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안전 관리 역량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국가의 중요한 역사적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 역시 재가동되어 국민들의 정보 접근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 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불편을 겪는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불편을 겪었던 지자체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하는 등 국민 불편 해소에 집중하고 있다.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 역시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하는 등 정부 차원의 문제 해결 의지를 다지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는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의 안정성과 복원력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 필요성을 제기한다. 행정안전부는 복구 작업과 더불어 주요 정보시스템 및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고,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여 유사한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는 데 힘쓸 계획이다. 또한,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중단되었던 행정 서비스가 완전히 정상화되고, 향후 더욱 안정적인 국가 정보 관리 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