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마비되었던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가 진전을 보이고 있다. 10월 16일 기준으로 총 324개 시스템, 즉 45.7%가 복구되었으며, 이는 지난 13일 260개 시스템 복구 이후 대폭적인 증가를 나타낸다. 이번 복구 작업은 국민 생활과 공공기관 업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들을 중심으로 최단기간 내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인해 발생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이용하는 주요 서비스들의 중단이었다. 특히 1등급 시스템인 우편정보 ePOST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의 복구는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판로 지원과 더불어 국민들의 편리한 온라인 구매 활동 재개를 의미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 예탁금 납부, 이용자 본인부담금 납부 등의 서비스도 정상화되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업무 등급, 대국민 서비스 우선순위에 따른 복구 방식을 마련하고 속도감 있게 진행하고 있다. 화재 및 분진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될 예정이다. 반면, 피해가 적었던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히 복구하되, 백업 또는 옛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복구 방안이 수립 및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복구 작업에는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에 더해 제조사 복구 인원까지 투입되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10월 말까지 국민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보훈서비스, 법령정보서비스 등 1·2등급 포함 미복구 시스템 289개를 우선 복구하고, 11월 20일까지는 법제교육 등 기타 76개 시스템의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안전, 보안, 신뢰라는 3대 복구 원칙을 최우선으로 삼아 현장 인력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이버 및 물리적 보안 점검을 강화하며 복구 진행 상황을 국민 및 관계기관과 투명하게 공유하고 있다. 특히, 신규 장비 도입 시 장비 하중을 고려한 배치와 화재에 따른 건물 안전성 분석을 위한 대전센터 건물 구조진단 실시 등 안전 원칙 이행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이러한 체계적인 복구 노력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국민들이 겪었던 불편은 최소화될 것이며,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 행정정보시스템 환경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