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소비 침체와 소상공인 경영난이라는 문제에 직면해 정부는 전국 단위 소비 촉진 행사인 ‘동행축제’를 통해 경제 활력 제고에 나섰다. 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동행축제는 온·오프라인 판매전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총 6634억 원이라는 막대한 매출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단순한 일회성 행사를 넘어,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번 동행축제의 성공 요인은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먼저,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2만 7000여 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직접 매출을 올렸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6700만 원) 증가하는 등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으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 또한 13배(6200만 원) 이상 매출이 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6400만 원)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6000만 원) 등 대표 상품을 배출하며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내수 시장 활성화에 기여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76%와 24%로 높여, 상대적으로 소비 활력이 저조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지원을 강화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또한, 제주 개막식(8월 30일~9월 5일)은 1만 8000명의 방문객을 기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고,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소상공인 업체가 참여해 1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이 외에도 상생소비복권과 다양한 민간기업의 소비 촉진 이벤트는 내수 시장 활성화에 더욱 박차를 가했다. 1000만 명이 응모한 10억 원 규모의 상생소비복권과 7개 TV홈쇼핑사, 7개 카드사의 적극적인 참여는 소비 심리를 자극하고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대한 할인 쿠폰 발급으로 지역 상권 회복에도 힘을 보탰다.
이번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결과는 단순히 매출 증대에 그치지 않고,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에게 희망을 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정부는 이러한 소비 촉진 행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진행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제공하며 국민들의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