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바쁜 일상에 쫓기는 현대인들에게 잠시 걸음을 멈추고 예술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국립극단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선보이며 시민들에게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한다. 이는 평소 시간적 제약이나 극장 방문의 어려움으로 인해 문화 향유 기회가 적었던 이들에게 예술을 더 가깝고 편안하게 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움직임이다.
이번 ‘한낮의 명동극’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한 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다채롭게 구성되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성을 높였으며, 이는 예술이 특정 계층만의 전유물이 아닌, 모든 시민이 일상 속에서 누릴 수 있는 보편적 가치임을 강조하려는 국립극단의 의지를 보여준다. 특히, 1950년 창단 이래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국립극단이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선보이는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의 일환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이,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가 운영되는 등, 국립극단은 시민들에게 더욱 풍성한 문화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이기도 했던 날,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은 이러한 취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 방송에 맞춰 명동 거리를 지나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추기 시작했고, 처음에는 호기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던 이들도 점차 공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무대에는 단 한 명의 연주자만이 있었지만,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과 창의적인 소품 활용은 야외마당을 훌륭한 극장으로 변모시켰다. 그림을 그리거나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듯한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흥미를 유발했으며, 연주자가 공연 도중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는 등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시도는 단순한 수동적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이처럼 일상 속에서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은 시민들에게 잊지 못할 특별한 기억을 선사했다. 아이들과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지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 맥을 같이 한다. 이는 국민이 일상 속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신규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 시간을 내어 극장을 방문하기 어려웠던 직장인, 명동을 찾은 관광객,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관객이 되면서 예술은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각 공연은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여 관람하기에 부담이 없으며,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 중단 또는 취소가 될 수 있으니 참고해야 한다.
남은 공연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 해당되는 날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만약 명동 방문이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의 문화 공간에서 제공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할인 혜택 정보,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항목별로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하므로, 각자의 상황에 맞는 문화 혜택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바쁜 현대 사회 속에서 잠시 멈춰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문화적 휴식을 찾는다면, 이번 ‘문화가 있는 날’을 통해 가까운 곳에서 열리는 예술 공연을 즐겨보는 것은 어떨까.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우리 곁에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