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특별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하지만 이러한 행사가 개최될 만큼, 우리말은 점차 그 본연의 가치를 잃어가고 일상생활 속에서 외래어나 비속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우리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희박해지고, 올바른 언어 사용 습관이 형성되지 않는 점은 심각한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행사는 이러한 공공언어의 오염과 우리말의 약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절실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의 푸른 잔디밭 위에 마련된 부스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마련되어 참가자들이 우리말을 제대로 알아가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유도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각 지역의 방언을 지도 위에 직접 표기하며 그 다양성을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는 단순히 표준어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말의 풍부한 지역적 특색을 재조명하고 이를 보존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로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의 의미를 되새기는 기회를 제공했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선택하는 게임을 통해 참가자들이 자연스럽게 정확한 언어 사용법을 익히도록 했다. 여러 차례의 시도를 허용함으로써 아이들 역시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한 점은 교육적 효과를 높였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에서 ‘한’의 의미를 묻는 질문을 통해,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한글의 깊은 뜻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일상적인 표현을 우리말로 바꾸는 퀴즈를 진행하며, 외래어 사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올바른 우리말 대체어 사용을 약속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우리말에 대한 무관심을 해소하고, 언어 사용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자발적인 노력을 통해 우리말의 가치를 되새기고 이를 보존하려는 움직임은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이번 행사에 참여한 20대 청년들이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열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는 단순히 한글날을 기념하는 행사를 넘어, 우리말 사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문화가 정착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진행될 다양한 기념행사 참여를 독려하며, 우리말을 사랑하고 지키는 노력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