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을 세계에 알리는 최전선에는 국민 모두가 공공외교관으로서 서 있다. 해외 거주 시절, 낯선 한국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을 자극했던 개인적인 경험은 한류가 세계를 휩쓸기 이전, 문화와 예술이 가진 강력한 파급력을 실감하게 했다. 당시 한복 대여를 도와주었던 친구의 결혼식 풍경은 이제 자녀 세대에 이르러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몰입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우리 국민이 직접 공공외교를 체험하고 국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공공외교는 정부 간의 공식적인 외교 활동과는 차별화된다. 이는 문화,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 간의 신뢰와 호감을 구축함으로써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국제 사회에서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대하는 외교의 한 방식이다. 매년 가을,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공공외교주간’은 바로 이러한 공공외교의 현장을 국민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하고 직접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는 축제다. 올해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센터, 각국 대사관, 서울광장 등에서 진행되는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한국의 다채로운 공공외교 활동과 문화를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행사를 통해 참가자들은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국제 사회의 협력과 평화에 기여할 호감과 신뢰를 쌓는 밑거름이 된다.
특히 이번 공공외교주간에서는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라는 워크숍에 참가하며 필자는 딸과 함께 커피라는 매개체를 통해 지구 반대편 국가와 교감하는 특별한 경험을 했다. 9월 22일, KF 글로벌센터 19층 세미나실에서 열린 이 워크숍에는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가 직접 참여하여 커피의 역사와 콜롬비아 커피의 중요성, 그리고 콜롬비아 커피 여행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콜롬비아의 지리적 특성이 연중 커피 재배에 유리하다는 점, 손으로 수확하고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맛을 내는 점, 그리고 ‘파넬라’라는 콜롬비아 전통 설탕과 함께 즐기는 방식 등은 커피에 대한 이해를 한층 깊게 만들었다.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콜롬비아와의 60년 우정, 그리고 무비자 협정을 통해 양국 국민 간의 교류가 얼마나 활발한지에 대한 설명은 거리상의 물리적 간극을 넘어선 두 국가 간의 끈끈한 유대감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커피 전문가 강병문 씨는 워시드 방식과 내추럴 방식 등 커피 제조 과정을 시연하며 참가자들이 직접 두 가지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를 시음하고 향과 맛을 비교해볼 기회를 제공했다. 같은 커피라도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점은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는 공공외교의 정신과도 맞닿아 있었다. 이러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은 단순히 특정 국가의 문화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외교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 올해 다수의 국제 행사가 개최되고 있으며, 한 달여 뒤 APEC 회의 개최국으로서의 역할 또한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 외교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더불어 국민 개개인이 적극적으로 공공외교 주간과 같은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문화를 매개로 한 외교가 더욱 풍성해지고 지속 가능해질 수 있다. 국민의 지지와 참여 없이는 어떠한 외교도 성공하기 어렵다는 점을 상기하며, 이번 공공외교주간을 통해 국민 모두가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기회를 갖기를 기대한다. 필자 역시 26일 열리는 스페인 행사에 아들과 함께 다시 한번 참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