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의 공연단체와 공연장이 겪고 있는 어려움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공연예술 생태계의 자생력 강화라는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 특히 서울 외 지역의 기초 공연예술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지역 문화 예술의 균형 발전과 향유 기회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공모하는 ‘2026년 공연예술 지역유통 지원사업’은 무용, 뮤지컬, 연극, 음악, 전통 등 기초 공연예술 5개 분야의 작품들이 전국적으로 더 활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체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이 사업을 통해 공공 공연장과 민간 공연예술 작품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제로 올해에도 이 사업을 통해 전국 177개 공연시설에서 223개의 공연 작품(203개 공연단체)이 지원되었으며, 지난 8월 기준으로 134개 지역에서 714회의 공연이 개최되어 14만 명의 관람객을 맞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내년도 지원 사업의 신청 대상은 서울 외 지역에 소재한 민간 공연단체, 이미 제작이 완료되어 유료로 상연된 공연작품, 그리고 서울 외 지역에 위치한 공공 공연시설이다. 특히 내년 사업은 공연단체와 공연시설 양측의 균형 있는 지원을 위해 공모 구조를 대폭 개편했다. 참여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절차를 간소화하여, 공연단체와 공연시설이 서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으며, 이를 통해 지원 한도와 예산 범위 내에서 최적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번 공모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신청 방식의 개선이다. 기존 ‘이(e)나라도움’ 시스템 대신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새롭게 개발한 공연예술 전용 기업 간 플랫폼인 ‘공연예술유통 파트너(P:art:ner)’를 통해 신청을 받게 된다. 이 플랫폼은 공연단체와 공연장이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소규모 공연장이나 인지도가 낮은 신생 예술단체에게도 더 많은 교섭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올해 구분하여 진행했던 ‘유형1 사전매칭’과 ‘유형2 사후매칭’을 통합 공모하여 절차를 간소화했으며, 예산 잔여 발생 시 추가 공모를 진행할 예정이다.
문체부 신은향 예술정책관은 이번 사업이 “우수한 기초예술 작품을 지역에서 공연할 수 있게 하여 공연단체의 자생력을 높이고 지역민의 문화 향유를 확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업 공모 구조를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개편하여 더 많은 예술인과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와 같은 지원 사업을 통해 지역 곳곳에서 다채로운 기초 공연예술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예술가와 관객 모두가 만족하는 문화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