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의 취향 탐색과 교류를 위한 특별한 공간이 마련되었으나, 이 행사가 나오게 된 근본적인 문제는 청년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가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바쁜 일상 속에서 개인의 문화적 취향을 발견하고 이를 타인과 공유하며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 이러한 배경을 만들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는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이라는 팝업 스토어가 운영되었다. 이 행사는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하여 ‘탐색의 방’, ‘고민 전당포’, ‘연결의 방’, ‘영감의 방’이라는 네 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탐색의 방’에서는 각자의 취미와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자신의 문화 성향을 파악하는 시간을 가졌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구성된 질문과 선택지를 통해 청년들은 자신을 탐색하고 유형을 찾는 과정을 경험했다. ‘고민 전당포’는 청년들이 솔직한 고민을 나누고 타인의 답변을 통해 위안과 조언을 얻는 공간으로 기능했다. 자신의 고민을 적어 제출하면 익명의 다른 참여자가 작성한 답변을 받을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혼자만 힘든 것이 아니라는 안도감을 느낄 수 있었다.
‘연결의 방’에서는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등 다양한 단체들이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들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고 투표를 거쳐 정책 의제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경험하며,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즉석에서 남기기도 했다.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출판계 현직자들과의 토크콘서트를 통해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 이는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중요한 영감을 제공했다.
이처럼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발견하고, 솔직한 고민을 공유하며,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연결되고, 나아가 자신의 꿈을 구체화할 수 있는 통합적인 경험을 제공했다. 이러한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된다면, 청년들이 겪는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소하고 진정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진행된 이번 행사는 청년정책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아우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도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며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가 확대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