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 연휴 기간 전국적으로 119 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된 비상근무체계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명절 기간은 평소보다 위급 상황 발생률이 높아지는 시기이지만,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전문 상담 인력 204명 증원 및 수보대 34.5% 증설 운영 등 철저한 준비를 통해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신속한 도움을 제공했다.
이러한 119 구급상황관리센터는 단순히 전화 응대만을 넘어,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자 역할을 수행했다.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 서비스는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 환자들에게는 가정 내에서 자체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불필요한 의료 쇼핑을 줄이고, 실제 위급한 환자들이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이번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일평균 8022건으로 평시 대비 73.8% 증가한 5만 6151건에 달했으며, 가장 많은 상담이 집중된 추석 당일에는 병의원 안내가 59.8%를 차지하여 명절 기간 의료기관 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이 외에도 질병 상담, 응급처치 지도, 약국 안내 등 다양한 상담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119 구급상황관리센터는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119 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중증 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병원 선정 및 이송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유기적인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 응급환자들의 소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경북 지역에서는 진료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한 소아 환자들이 서울·경기 지역 병원으로 소방헬기를 이용해 긴급 이송되었고,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 임신부의 이송과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다.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 의심 환자가 해경과의 협력을 통해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되어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소방청은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상태에 따라 119 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는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필요한 처치 후 다른 병원으로 이송하는 효율적인 응급 이송 체계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는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 이송 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은 앞으로도 국민들이 위급한 상황에서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게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