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이어 발생하는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와 붕괴사고는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 재난의 빈번한 발생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주며,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가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가운데, 소방청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소방청은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기존의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기존의 소방과학기술과가 수행하던 업무를 확대 및 재편성한 것으로, 특히 첨단 과학기술과 기후 위기 대응이라는 두 가지 핵심 과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새롭게 개편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기존의 소방 현장 활동 지원을 위한 첨단 장비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이어받는 동시에,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을 소방 정책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기술 지원하는 역할을 새롭게 맡게 된다. 이를 통해 소방청은 미래 재난에 보다 선제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이러한 조직 개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러한 조직 개편은 궁극적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