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AI는 이미 핵심적인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드웨어에 탑재된 AI는 산업 현장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동시에, 국가 경쟁력과 미래를 좌우하는 전략적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우리나라는 AI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지난 9월 4일부터 6일까지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제1회 산업 AI 엑스포’가 개최되었다. ‘AI와 산업의 융합,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다’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엑스포에는 국내 100여 개 기업이 참여하여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다양한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피지컬 온 디바이스 AI 도슨트 투어’는 AI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도슨트 투어는 AI 개발 환경의 필수 기반이 되는 워크스테이션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 및 운송 로봇에 이르기까지 총 6가지 코스로 구성되었다. HP 코리아는 고성능 CPU와 맞춤형 GPU를 탑재한 데스크톱과 영상 텍스트 인식 기술인 VLM(Visual Language Model)을 시연하며 AI 개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모빌린트는 AI 연산에 특화된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선보이며, 기존 GPU 대비 60%의 전력 비용 절감 효과를 설명했다.
엑스포의 핵심은 다양한 로봇 시연이었다. 에이 로봇은 AI를 탑재한 휴머노이드 로봇 ‘에릭스’가 주사위 게임과 물통 전달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모습을 선보였다. 클레비는 초거대 언어 모델 기반 AI를 드론과 로봇에 적용하여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고 복제하는 시연을 통해 AI의 높은 활용도를 입증했다. 가이드는 사람 형상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될 가능성이 높지만, 배터리 문제와 같은 숙제가 남아 있다고 설명하며, 현재는 로봇 팔 형태의 로봇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AI 기술도 소개되었다. 제조 공정에서 로봇 팔에 사용되는 AI를 개발하는 스포티는 평면뿐만 아니라 곡면에서도 나사를 정밀하게 맞추는 기술을 시연하며, 소량 맞춤 생산 시스템에 적합한 AI의 뛰어난 대처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농업 현장에서 블루베리를 운송하는 로봇 ‘일로’는 AI가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대안임을 제시했다.
엑스포 현장에서는 AI 기술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AI는 인간의 판단을 돕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며, 인간의 지능을 확장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I와 디지털 트윈 기술의 결합은 사무실에서 현장 사고와 같은 상황을 가상공간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산업 현장의 안전과 정확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차원에서도 AI 기술을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있다. 지난 9월 8일,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가 출범했으며, 11월까지 ‘대한민국 AI 액션플랜’을 수립, 발표할 예정이다. 이미 AI를 국가전략 기술로 지정한 정부의 노력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비록 산업 AI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지만, 이번 엑스포를 통해 보여준 AI의 가능성은 한국이 가진 강점과 결합하여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