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에서 ‘강화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가 최근 주목받으며 지역의 옛 산업 유산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 시설의 부상 뒤에는 근대화 과정에서 겪었던 지역 경제의 어려움과 여성들의 억척스러운 삶의 흔적이 담겨 있다. 특히 1933년 ‘조양방직’ 설립 이후 1970년대까지 60여 곳이 넘는 방직공장이 성행했던 강화는 당시 도시화와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수원과 더불어 전국 3대 직물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하루 12시간씩 일해야 했던 4000여 명의 직공들과, 그들이 전국을 누비며 옷감과 함께 팔았던 새우젓에 얽힌 애잔한 사연이 존재한다.
이러한 강화직물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폐 소창공장 ‘동광직물’은 생활문화센터로 새롭게 문을 열었고, 1938년에 건축된 한옥과 염색공장 터였던 ‘평화직물’은 ‘소창체험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소창은 목화솜으로 만든 면직물로, 주로 옷이나 행주, 기저귀 등으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 면화를 수입해 제작했으며, 당시 강화읍 권역에만 60여 개의 공장이 운영될 정도로 활발한 산업이었다. 소창 공장에서 일하던 여성들은 완성된 직물을 직접 둘러매고 삼삼오오 짝을 지어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판매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쉰밥과 찬밥에 곁들일 유일한 반찬이었던 강화 새우젓을 함께 팔기도 했다. 전국 물량의 70~80%를 차지하는 강화 새우젓은 드넓은 갯벌과 한강, 임진강의 민물이 합쳐지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타 지역보다 월등히 맛이 뛰어나며, 짠맛보다는 들큰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강화의 풍요로운 특산물은 비단 직물만이 아니다. 사계절 내내 숭어회, 병어회, 밴댕이, 대하, 갯벌장어 등 신선한 해산물을 즐길 수 있으며, 순무와 고구마 또한 유명하다. 특히 강화의 상징인 마니산은 한민족 정체성의 뿌리를 되새기게 하는 민족의 영산으로,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참성단이 정상에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강화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소창과 새우젓은 단순히 지역의 특산물을 넘어, 그 시대를 살아갔던 여성들의 억척스러움과 고단함을 담고 있다. 실제로 새우젓은 강화의 향토 음식인 ‘젓국갈비’의 핵심 재료로 사용되며, 갈비, 호박, 두부, 배추 등 다른 재료들과 어우러져 슴슴하면서도 감칠맛 나는 깊은 맛을 선사한다. 이는 인공 조미료로는 흉내 낼 수 없는 새우젓 특유의 풍미 덕분이다. ‘대미필담(大味必淡)’이라는 말처럼, 진정한 맛은 담백함에 있다는 것을 젓국갈비는 여실히 보여준다.
소창체험관과 동광직물 생활문화센터 방문은 이러한 강화의 산업 역사와 지역민들의 삶을 깊이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과거 방직공장에서 먼지 쌓인 환경 속에서 땀 흘렸던 여성들과, 그들의 곁을 지켰을 짠맛 나는 새우젓, 그리고 기저귀를 삶아 키워냈을 어머니의 기억은 함민복 시인의 시구처럼 우리의 삶이 왜 이토록 애잔한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이처럼 강화는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과 맛있는 음식을 넘어, 억척스러운 여성들의 땀과 눈물로 얼룩진 역사의 깊이를 간직한 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