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와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국민들의 생계비 부담이 가중되는 등 민생경제 현장에 어려움이 가시지 않고 있다. 이러한 국민들의 절박한 목소리를 국정 운영의 출발점으로 삼아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이 시작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를 개최하고, 국민 패널 110여 명과 함께 민생·경제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청취하며 문제 해결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국민사서함’을 통해 접수된 방대한 민생·경제 분야 정책 제안들을 기반으로 마련된 것으로, 국민들이 실제로 겪고 있는 어려움을 공유하고 실효성 있는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국민주권 실현’과 ‘참여와 소통’을 국정 운영의 핵심 철학으로 삼아온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기조를 반영한 적극적인 소통 행보라 할 수 있다.
행사에서는 ‘국민사서함’에 접수된 총 3만 8741건의 제안 중, 국민들의 삶과 직결된 경제·민생 분야 제안 1만 7062건(전체의 44%)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 시대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 운영자금 지원, 지역화폐 활성화 등 국민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인 핵심 민생 과제들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이 이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서 ‘국민사서함’을 통해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들이 오늘 토론의 출발점”임을 강조하며,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신 국민 여러분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변함없는 신념”이라고 역설하며, “오늘 주신 생생한 말씀들을 정책으로 다듬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현실적인 대안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감 없이 제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행사는 ‘1부: 현장의 목소리’와 ‘2부: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국민 누구나 토론 현장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도록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참여 크리에이터 채널 등을 통해 생중계되었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고물가, 고금리로 인한 민생경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