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본격적인 도래를 앞두고 각 분야에서 AI 도입 및 전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만, 정작 AI가 작동하는 근간이 되는 ‘기본 데이터’ 축적 시스템의 부재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두드러지며, 이는 곧 국민들이 체감하는 서비스의 질적 저하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AI 전환을 한다는 것은 그저 AI를 도입하기만 해서 되는 일이 아니다”라며, “로그(Log)가 없는 웹페이지를 일만 년을 운영한들, 그 서비스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여기서 로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순서대로 기록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는 사용자의 로그인 기록,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발생 등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시스템 로그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공공 서비스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이 태반이라는 점이다. 로그가 깔려 있지 않으면 사용자들이 어떤 메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 혹은 어떤 메뉴가 불편하여 이탈하는지조차 파악할 수 없다. 이는 곧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메뉴 배치나 디자인 개선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나아가, 웹사이트 로딩 속도가 느려지거나 오류가 발생해도 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수정할 방법이 없어진다. 3초 이상 소요되는 웹사이트의 경우 40%의 사용자가 이탈한다는 통계가 있으며, 5초 이상이면 사실상 ‘죽은 사이트’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 서비스 사이트 대다수는 이러한 기본적인 진단조차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업무를 마무리하지 못하고 좌절하며 떠나더라도 이를 알 방법이 없어, 결국 국민들은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불편과 답답함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AI는 데이터를 먹고 자란다. AI가 제대로 작동하고 혁신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쌓여야 하며, 이 데이터는 기계가 읽을 수 있고 통합될 수 있어야 한다. 박 의장은 이러한 관점에서 공무원들이 AI 비서를 통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예를 들어, 낮에 작성한 문서를 AI 비서가 밤새 분석하여 과거 유사 사례를 찾아 제시하거나, 다른 부서와의 시너지를 제안할 수 있다. 또한, 회의록을 바탕으로 할 일, 책임자, 중간 보고일, 관련 문서 등을 정리하여 캘린더에 링크와 함께 자동 표기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미래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을 하면 저절로 데이터가 쌓여야 한다’는 전제가 충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모든 업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며, 일을 할수록 자동으로 데이터가 쌓이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박 의장은 AI 전환이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고 클라우드 활용의 필요성을 깨달으며, 더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로그 기록조차 없는 웹페이지 운영이 서비스 개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듯, 기본적인 데이터 축적 시스템 없이는 AI 전환은 공허한 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제기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