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30일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을 방문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전산장애 대응 행정민원서비스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중요한 안전 및 기록물 관련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정부는 복구 속도 제고와 대체 수단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10월 2일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서 오전 6시 기준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음이 발표되었다.
이번 복구 작업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는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이다. 긴 연휴를 앞두고 안전 및 재난 관리 기능의 정상화는 국민들에게 큰 안도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국가의 다양한 기록물을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 역시 재가동을 시작하며 정보 접근성을 회복했다.
윤호중 중대본부장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추석 연휴를 앞두고 행정전산망 장애로 인한 불편과 걱정에 대해 송구하다는 뜻을 전하며, 필수 행정 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최우선 순위를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는 차원에서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했음을 강조했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국가정보자원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및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인력도 복구에 참여하여 안정성과 재발 방지까지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은 시스템 복구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발생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했다. 이는 시스템 정상화까지 행정 공백을 메우기 위한 중요한 조치이다.
정부는 복구 속도 향상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예비비를 투입하여 최대한의 복구 속도를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시스템 중단 기간 동안 각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부분은 보완하여 국민 불편을 지속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 시스템 및 운영 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통해 국가 정보 관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어 추석 연휴 기간 동안에도 행정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