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 서울 양재동 aT센터 제2전시장에서 열린 ‘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중증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통합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장으로 기능했다. 행사장을 찾은 공공기관 관계자, 시민, 그리고 생산자들의 분주한 발걸음과 호기심 어린 눈빛은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보호나 시혜의 대상’에서 ‘일상에서 당연히 소비되는 제품’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방증했다. 이 박람회는 바로 이러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중증장애인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려는 정책의 현주소를 보여주었다.
이번 박람회는 중증장애인이 생산한 제품이 겪는 ‘인지적 낯섦’과 ‘경제적 불안정’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종이 쇼핑백 만들기, 꽃 만들기 등 체험 활동을 통해 관람객들이 생산 현장의 무게와 세심한 노동의 가치를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실수를 연발하는 참가자에게 작업장 선생님이 옆에서 손을 맞잡고 도움을 주는 모습은 단순한 가르침을 넘어 동료로서의 연대감을 형성하며 참여자들에게 큰 뿌듯함을 안겨주었다. 완성된 쇼핑백에 선명하게 새겨진 ‘일상으로’라는 문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특별한 존재가 아닌,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 어머니는 “직접 만들어 보니 제품 하나가 나오기까지 얼마나 많은 손길이 필요한지 알겠다”라고 말하며 제품 생산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체험에 참여한 금천구 박O광 씨(32)는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이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 몇 번이나 실수했는데 옆에서 선생님이 손을 잡아주며 도와주셨습니다. 마지막 매듭을 완성했을 때 제 손으로 끝까지 해냈다는 성취감이 크게 다가왔습니다”라며, “장애인 생산품을 특별히 사주는 물건으로 보기보다, 정직하게 만든 생활 속 제품으로 받아들여졌으면 합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강서구의 이O도 씨(27) 역시 “제가 만든 쇼핑백이나 조화를 누군가 실제로 사용한다고 생각하니 뿌듯했습니다. 이번 경험이 일자리로 이어져 더 많은 청년 장애인이 안정적인 일터에서 일상을 이어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라고 덧붙이며,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가 자신의 삶과도 맞닿아 있음을 느꼈다고 전했다.
더 나아가, 전시장 안쪽에서는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 등 다양한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맛, 품질, 가격’이라는 경쟁력을 바탕으로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가 선보인 제설제와 세정제는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을 단번에 깨뜨리며 산업 현장에서도 쓰일 수 있는 제품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제품 앞에 선 생산자들의 당당한 표정은 자신이 만든 제품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냈으며, 관람객들은 가격이 합리적인 수준에서 책정되고 제품의 장점이 차분하게 설명되는 과정을 통해 신뢰를 쌓아갔다. 이는 동정이 아닌 실질적인 경쟁력으로 중증장애인 생산품의 가치를 증명하는 자리였다.
무대 위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과 더불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 한국교직원공제회, 한국장애인개발원, 전국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협의회와의 협약식이 이어졌다. 이러한 협약은 내일의 판로를 약속하는 구체적인 노력으로,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핵심 목표를 뒷받침했다. 통로에서는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가 납품 조건, 단가, 납기, A/S 등 현장의 언어로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가는 모습이 곳곳에서 포착되었다. 무대 위의 약속과 통로의 대화는 비록 높낮이는 달랐지만, 궁극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같은 목표를 향하고 있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제공한다. 대통령령과 관련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은 일정 비율 이상의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쌓는 실질적인 기반을 조성한다. 이번 박람회를 통해 만난 제품들은 앞으로도 온라인몰, 직영점, 협동조합 매장, 지역 행사장에서 지속적으로 소비자들과 만날 예정이다. 공공기관의 우선구매가 숫자로 기록된다면, 시민들의 재구매는 신뢰로 축적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첫 경험을 다음 소비로 연결하는 노력이다. 박람회에서 마주한 손끝의 성실함, 무대 위의 약속, 통로에서 오간 대화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바꾸어냈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진실, 그것이 이번 박람회의 가장 큰 성과이며, 앞으로 중증장애인의 ‘일상’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희망의 씨앗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