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진행된 동행축제 행사가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번 행사는 전국적인 소비 촉진을 통해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온·오프라인에서 다채롭게 펼쳐졌다.
이번 동행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함께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해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양한 이벤트가 마련되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2만 7000여 개의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이라는 높은 매출 성과를 달성했다.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특히 두각을 나타냈는데,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큰 호응을 얻었으며,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은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은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하는 만큼,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린 점이 눈에 띈다. 전체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이 76%인 110곳, 인구감소지역이 24%인 34곳을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제주 개막식 또한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진행되어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루었다. 8월 30일부터 9월 5일까지 진행된 제주 판매전에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사가 참여하여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 중 8개 업체는 첫날 모든 물량이 완판되는 기염을 토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에서 진행된 상생판매전 역시 9월 9일부터 11일까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적 유통 구조를 마련했다.
이 외에도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과 다양한 민간기업 주도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주목받았다. 상생소비복권은 1000만 명이 응모하며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해 다채로운 혜택을 제공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할인쿠폰을 발급하고, 집중호우 피해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할인쿠폰도 제공하는 등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갔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이달 말 정부가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해 마련할 대규모 국가단위 할인 축제인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