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찾아오며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가운데, 일상에서 벗어나 쉼과 재충전을 갈망하는 이들이 많았다. 막대한 돈과 시간을 들여 멀리 떠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서점 ‘가가77페이지’가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친숙한 매체인 영화를 통해 인문학적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 삶의 의미를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매년 전국 곳곳의 도서관에서 열리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서점에서도 펼쳐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인근에 자리한 가가77페이지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지향하며, SNS를 통해 프로그램 신청자를 모집했다. 7월 21일(월)부터 10회에 걸쳐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통해 여름날의 무기력함을 떨쳐내고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가가77페이지의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와 관련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게 다가가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특히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여 폭넓은 참여를 유도했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2025 길 위의 인문학’ 커리큘럼은 인문360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했다. 1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감상한 후, 영화의 주제인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다. 참여자들은 강연 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적고 공유하며 깊이 있는 인문학적 사유를 경험했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말은 참여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으며,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주는 의미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 많은 참여자들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인문학이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학문임을 강조하며, 자신이 듣고 싶은 강연을 원하는 방식으로 듣고자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좋은 선택지가 되었다고 밝혔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도 재미와 의미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주제, 영화, 작가, 책을 선정했으며, 두 강사의 조합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인문학이 위기라는 시각에 대해 이상명 대표는 오히려 AI가 발전할수록 인문학의 활용 영역이 커진다고 주장했다. AI 활용의 핵심은 구조화된 사고 체계에 있으며, 이러한 근간이 인문학에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인문학적 완성도를 갖춘 사고가 AI에 접목될 때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 도덕적 사고까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판 및 서점업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가가77페이지는 책방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하며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상명 대표는 책방이야말로 문화의 많은 것을 담고 즐기며 행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라고 믿으며, 이러한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이어가고자 한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길 위의 인문학’ 홍보물을 접하고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었으며, 반복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강연자와 참여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말했다. 박근주 씨는 더불어 동네 책방이나 도서관과 연계된 인문학 수업이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라며,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어져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배움의 효과가 커지기를 희망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며,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를 내걸고 있다. 이 사업은 인문학과 지역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 경험할 수 있었던 이러한 만남의 장은, 우리 동네에서 어떤 인문학을 만날 수 있을지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하반기에도 전국 곳곳에서 이어질 인문학 프로그램의 열기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이끌어주는 인문학의 가치를 재확인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