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우리 문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러한 열기를 발판 삼아, 문학이 가진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키기 위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이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들을 한데 아우르는 통합적인 자리로 마련되었다.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에 펼쳐지며, 문학의 즐거움을 일상 속으로 깊숙이 끌어들이고 있다.
이번 문학축제의 핵심 중 하나인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문학이 우리 삶의 틈새를 비추고 서로에게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 역할을 해주기를 염원하고 있다. 바쁘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춰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자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특히,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이라는 주제 스테이지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은 글쓰기가 곧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작용했다. 이처럼 글을 쓰는 행위는 결국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소통하는 통로가 된다는 점이 참석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축제는 문학을 읽고 쓰는 경험을 넘어, 직접 참여하고 즐기는 프로그램으로도 확장되었다. 비로 인해 일부 야외 프로그램이 취소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체험에 참여하며 직접 찍어낸 귀여운 주황색 고양이 그림 책갈피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소중한 추억이 되었다. 이처럼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전국 방방곡곡에서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축제’로서 그 의미를 더한다.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국내외 작가를 초청하는 행사, 토크와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자신이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도 ‘2025 고양독서대전’이 10월에 개최될 예정이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이하여 지역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 중이다.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에 참여해 오던 중, 이번 ‘대한민국 문학축제’를 계기로 9월 말에는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더욱 풍성한 프로그램이 선보일 예정이다. 문학은 단순히 책장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며 즐길 때 비로소 진정한 힘을 발휘한다. 이번 축제가 더 많은 시민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