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 자산의 부동산 편중 현상이 심화되면서 노후 대비 자산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 가계 자산의 60~70%를 금융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가계 자산의 75%가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으며, 65세 이상 고령층 가구에서는 이 비중이 80~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상으로는 가구당 순자산이 일본을 앞서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산 구조의 왜곡으로 인한 잠재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이러한 부동산 중심의 자산 구조가 향후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불황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부동산 가격 하락이 발생할 경우 노후 생활에 심각한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한국의 토지 자산 규모는 국토 면적이 4배가량 넓은 일본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는 단위 면적당 가격이 일본보다 현저히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 일본이 겪었던 극심한 부동산 버블 붕괴 사례를 볼 때, 우리 역시 이러한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수십 년간의 도시화 과정과 베이비붐 세대의 주택 마련 열기가 마무리되면서 부동산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했다. 현재 일본인들은 ‘집 없으면 어때? 빌려 살면 되는 거지’라는 인식이 강하며, 금융자산을 활용한 합리적인 자산 배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빌릴 수만 있다면 무조건 집을 사야 한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며, 이는 과도한 부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노후의 안정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해, 강창희 대표는 노후 대비 자산관리의 핵심 원칙을 제시한다. 투자의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자산이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보유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다면, 점진적으로 부동산 비중을 줄이고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려나가야 한다. 퇴직 무렵에는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율을 최소한 반반으로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더불어,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행위는 신중해야 하며, 이러한 원칙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필수적인 자산관리 전략임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