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극장가를 덮친 관객 감소의 한파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OTT 서비스의 범람과 일상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변화는 예전만큼 극장을 찾는 발걸음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는 침체된 영화 산업을 활성화하고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영화 6천원 할인권’을 추가로 배포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7월 25일부터 시행된 450만 장의 할인권 배포에 이은 두 번째 조치로, 사용되지 않은 잔여분 188만 장을 9월 8일부터 선착순으로 다시 풀어 국민들의 극장 방문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6천원 할인권 배포는 단순히 관객 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영화 산업 전반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전략적인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 1차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나 증가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결과, 10명 중 3명은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으로 나타나, 이번 할인권이 잠재 관객들을 극장으로 다시 끌어들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번 할인권은 기존 1차 배포 대상자뿐만 아니라, 1차 때 혜택을 받지 못했거나 추가적인 관람을 원하는 경우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다. 기존 극장 애플리케이션 회원들은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1인 2매의 할인권이 미리 담겨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신규 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에도 회원 가입 다음 날 쿠폰함에 할인권이 지급되어, 복잡한 절차 없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이번 할인권은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 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개인의 취향에 맞는 영화를 폭넓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6천원 할인권은 관객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극장 방문을 촉진하고, 나아가 다양한 규모의 영화관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을 위해 예매 방법을 안내하는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까지 운영하며 이용 편의성을 높인 점은 고무적이다. 물론, 할인권은 선착순으로 배포되며 소진 시 마감되므로, 영화 관람을 계획하고 있다면 서둘러 혜택을 챙기는 것이 현명하다. 이번 할인권 정책이 사그라들었던 극장가의 열기를 다시 지피고,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긍정적인 마중물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