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적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0월 15일,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 ‘펍지 성수’에서 게임 업계 관계자들과 현장 간담회를 갖고, 게임 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심도 깊은 대화를 나눴다. 이 자리에는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그리고 게임인재원 학생들이 참석하여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내 게임 산업이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들을 진단하고,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게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전환하고, 이를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 강력하게 제기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 콘텐츠의 잠재력과 다각적인 활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다른 사람의 세계도 볼 수 있는지’, ‘차 한 대를 사려면 얼마나 일해야 하는지’ 등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게임의 경제적, 사회적 파급 효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 전반에 걸쳐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비전을 제시하며, 문화산업의 중요한 축으로서 게임 분야의 위상을 강조했다. 그는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역설하며,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적 관점에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게임 산업을 단순한 오락 분야를 넘어, 국가 경제 발전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인식해야 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게임 업계가 오랫동안 요구해 온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와 사업자의 요구뿐만 아니라 고용된 노동자들이 혹여라도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반드시 개발자의 창의성과 노동자의 권익 보호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정책 판단의 문제로서 양측의 의견을 모두 반영하여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는 그의 발언은, 업계의 오랜 숙원을 풀어낼 정책적 의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어진 비공개 토의 시간에는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김정욱 넥슨 대표, 그리고 유승현 원더포션 대표 등 업계 리더들이 나서 게임 산업의 진흥 필요성을 피력했다. 김택진 대표는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AI 기술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생기고 있다고 언급하며,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을 강조했다. 김정욱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으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승현 대표는 작은 규모라도 더 많은 인디게임 팀들에게 지원이 제공된다면 효과적일 것이라는 현실적인 제안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 방식, 문화 콘텐츠 수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확보 및 멀티 유즈 가능성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했다. 이러한 격의 없는 논의는 지원 확충과 규제 완화 필요성에 대한 깊은 성찰로 이어졌으며, 대한민국이 ‘세계 3위의 게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에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