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반세기 전, 1970년 12월 24일과 197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전후로 울산 언양 지역의 절벽에서 두 차례에 걸쳐 발견된 ‘반구천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며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러나 단순한 등재를 넘어, 6000년의 시간을 담고 있는 이 선사 시대의 ‘역사의 벽화’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는 바로 ‘수몰 위협’과 ‘관리 부실’ 가능성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인류가 공유해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 빛을 잃고 ‘수몰의 현장’으로 퇴보할 위험이 상존한다.
발견 당시, ‘천전리 암각화’와 ‘대곡리 암각화’로 나뉘어 불리던 이 유적들은 현재 ‘반구천 암각화’로 통칭되며,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식 명칭 또한 이와 같다. 천전리 유적은 청동기 시대, 대곡리 유적은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이 두 유적이 나란히 유네스코 유산으로 지정된 것은 선사 시대부터 6000여 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준다”며 “선사인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천전리 암각화에는 높이 약 2.7m, 너비 10m 바위 면에 620여 점의 추상적 문양과 신라 시대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대곡리 암각화에는 새끼 고래를 이끄는 무리, 작살에 맞아 끌려가는 고래, 호랑이, 사슴 등의 모습과 사냥 장면이 생생하게 담겨 있어 고미술학계에서는 ‘크리스마스의 기적’ 혹은 ‘크리스마스의 선물’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반세기 동안 이 경이로운 유적은 댐 건설로 인한 수몰 위협과 끊임없이 싸워왔다. 댐 수위에 암각화가 잠기면서 박락이 떨어져 나가고, 어설픈 탁본 작업으로 인해 원본이 상실되는 안타까운 일도 발생했다. 최근에는 가뭄으로 인해 암각화가 비교적 자주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만, 점증하는 기후변화와 댐 운영의 변수는 언제든 ‘반구천’을 ‘반수천(半水川)’으로 되돌릴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을 안고 있다. 물속에 잠긴 유산은 세계유산으로서의 지위를 잃을 수 있으며, 등재 이후 관리 계획이 부실하다면 유네스코가 등재를 철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적의 현장’을 ‘수몰의 현장’으로 되돌리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따라서 진짜 과제는 유네스코 등재 이후부터 시작이다. 울산시는 ‘고래의 도시’를 표방하며 고래 축제를 개최하는 등 암각화를 보존하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앞으로는 단순한 보존을 넘어 체험형 테마공원, 탐방로, 교육 프로그램, 워케이션 공간을 아우르는 생동하는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AI 기반 스마트 유산관리 시스템 및 암각화 세계센터 건립 등 미래형 전략을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관광 인프라 조성 과정에서 생태 환경 훼손이나 과잉 개발이 발생한다면, 그것은 유산의 본질을 배반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프랑스의 라스코 동굴과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 사례는 문화유산의 공개와 보존 사이의 긴장 관계를 잘 보여준다. 이들 동굴벽화는 관광객 증가로 인한 훼손 문제로 인해 결국 진본은 폐쇄하고 복제품을 통한 ‘간접 관람’ 방식으로 전환했다. 라스코는 1963년 진본 동굴을 폐쇄하고 재현 동굴을 설치했으며, 알타미라는 2002년 전면 폐쇄 후 ‘새 동굴’을 조성해 교육 및 관광에 활용하고 있다. 원본 동굴의 경우 극소수 인원만 추첨제로 관람이 가능할 정도다. 이러한 사례들은 문화유산의 ‘아우라’도 중요하지만, 후대에 온전히 물려주어야 할 책임감을 생각할 때, 현대 기술을 활용한 정밀한 복원 및 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문화유산은 그 자체로 상상력에 불을 붙이는 장치이며, 반구천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의 꿈은 유네스코 등재를 통해 다시 살아났다. 이제 이 거대한 바위의 장엄한 서사는,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닌, 현재와 끊임없이 대화하고 소통하는 ‘시간의 언어’로서 인류와 함께 나누는 이야기로 승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수몰 위협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과잉 개발을 경계하며,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체계적인 보존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