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과 진로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올해 2학기에 접어들며 학생들 사이에서 유독 수행평가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가는 것을 경험했다. 과거 필자 역시 지필평가와 함께 수행평가를 치르며 때로는 자잘한 수행평가가 더 큰 부담으로 다가왔던 기억이 생생하다. 당시에는 이러한 수행평가 준비를 위해 학원에 의존하거나 과제를 미리 완성해 오는 등 편법적인 준비 과정이 성행하기도 했다.
하지만 2025년 2학기부터 중·고등학교 수행평가 방식에 중대한 변화가 예고되면서 이러한 과거의 모습은 점차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느끼는 과도한 수행평가 부담을 줄이고자 기존의 암기식, 과제형 평가에서 벗어나 과정 중심 평가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개편은 학생들이 수업 시간 내에 평가를 받도록 함으로써,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을 차단하고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학교에서 자체 점검표를 활용하여 평가 계획을 개선하고, 교육청은 매 학기 시작 전에 학교의 평가 계획을 점검하여 외부 요인의 개입 가능성이 높은 과제형 및 암기형 수행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관리할 방침이다. 대신 토론과 자유로운 발상, 그리고 과정 중심의 평가가 강조될 예정이다.
실제로 이러한 변화를 직접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의 이야기는 긍정적이다. 국어 교과의 경우, 과거 외워서 문답지를 풀거나 작문하는 과제 중심의 수행평가에서 벗어나 조별 토론을 통해 생각을 공유하고, 수업 시간에 주어진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발상하며 논리적인 글로 정리하는 활동이 늘었다고 한다. 수학 교과 또한 단순한 답을 도출하는 것을 넘어, 문제 해결 과정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고 탐구 과정을 포트폴리오로 제출하는 방식이 도입되면서 학생들의 학습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학생들은 ‘평상시 공부’의 중요성을 더욱 절감하고 있다. 2학기에 접어들면서 밤샘 공부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수업 시간 내 모든 활동에 집중하는 자세가 자연스럽게 몸에 배면서 오히려 학업 부담이 감소했다는 의견도 있다. 사회, 과학, 미술 등 주요 교과 외에도 다양한 과목에서 과정 중심 평가로 변화가 확산되면서, 수행평가의 본래 취지인 학생의 성장과 변화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2025년 2학기부터 시행되는 수행평가 제도 개편은 학생들이 암기식 학습의 부담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