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무더위를 잊게 해주는 시원한 별미, 빙수가 전국을 휩쓸고 있다. 과거 단순한 여름철 간식이었던 빙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모습과 인식을 바꾸며 우리 곁에 자리 잡았다. 특히 부산 지역에서는 ‘할매’라는 이름과 함께 서민들의 팍팍한 삶 속에 녹아든 소박한 빙수가 여전히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본 기사는 이러한 빙수의 역사적 변화와 그 속에 담긴 서민들의 애환, 그리고 부산 빙수의 독특한 매력을 분석한다.
과거 방송사마다 여름밤이면 오싹함을 선사했던 ‘납량특집’ 프로그램은 더위를 쫓는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였다. <전설의 고향>과 같은 프로그램은 한 맺힌 귀신 이야기가 시청자들의 등골을 서늘하게 만들며 여름철 인기를 독차지했다. 이처럼 시원함을 받아들인다는 뜻의 ‘납량(納凉)’은 방송뿐 아니라 음식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그 중심에는 바로 빙수가 있었다. 1970년대, 학교 앞 허름한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는 에펠탑 모양의 수동 빙수기계로 만든 팥빙수를 단돈 십 원에 판매했다. 비록 돈이 없어 늘 사 먹지는 못했지만, 기계에 얼음을 넣고 손잡이를 돌려 갈려 나오는 얼음 알갱이를 보는 것만으로도 더위를 쫓는 듯한 신비로운 경험을 선사했다. 주인이 색소를 섞은 시럽을 뿌려주던 빙수는 합판 탁자 위에서 허겁지겁 먹던 추억으로 남아있다.
좀 더 고급스러운 맛을 원한다면 시내 제과점에서 파는 팥빙수나 ‘후루츠칵테일’ 빙수를 맛볼 수 있었다. 우유와 연유를 듬뿍 넣어 곱게 간 얼음은 혀에서 부드럽게 녹아내리며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다. 산처럼 쌓아 올린 얼음이 금세 허물어지는 모습은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지만, 그 달콤함은 더위를 잊기에 충분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며 ‘눈꽃 빙수’가 등장하면서 빙수는 단순한 여름 전용 음식을 넘어 사계절 별미로 자리매김했다. 이제는 빙수 전문 카페가 곳곳에 생겨났고, 호텔에서는 십만 원에 육박하는 고급 빙수까지 선보이며 ‘빙수 왕국’이라 불릴 만한 시대를 맞이했다.
이러한 빙수 왕국 속에서도 부산은 남다른 위상을 자랑한다. 국제시장, 광복동, 용호동 등 부산 곳곳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국제시장에서는 빙수 한 그릇을 맛보기 위해 긴 줄을 서야 할 정도다. 부산 사람들이 빙수를 특별히 사랑하는 이유에 대해 주인들은 생선을 얼리기 위한 얼음이 자연스럽게 빙수 재료로 활용되었고, 더운 날씨에 시원한 빙수에 대한 갈증이 컸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부산의 빙수는 화려한 고명보다는 팥을 푸짐하게 얹는 것이 특징이다. ‘할매 빙수’라고 불리는 이 소박하고 투박한 빙수는 너무 달지 않은 팥과 함께 얼음 위에 넉넉하게 담겨 나온다. 마치 할머니의 정을 느끼게 하는 이 빙수는 단순한 간식을 넘어 든든한 한 끼 식사로도 손색이 없다. 전국적으로 유행한 ‘눈꽃 빙수’의 오리지널이 부산이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많은 부산 시민들은 여전히 정겨운 ‘할매 빙수’를 더 선호한다.
빙수의 역사는 근대 이전의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시대에는 여름 얼음이 귀한 대접을 받았다. 겨울철 한강에서 채취한 얼음을 서빙고, 동빙고와 같은 곳에 저장해 두었다가 여름이 되면 궁으로 옮겨 왕의 음식 재료 보존을 위한 냉장고로 사용했다. 서민들에게 여름 얼음은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호사’였다. 차가운 음료를 만들기도 했겠지만, 당시 얼음은 주로 귀한 저장 용도로 쓰였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되짚어보면, 얼음으로 만든 최고의 음식인 빙수가 우리 삶에 얼마나 큰 의미를 지니는지 새삼 실감하게 된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이 저물기 전, 부산으로 향해 진정한 빙수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