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찾아오며 무기력했던 올여름, 많은 이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분위기 전환을 모색하고 있었다. 돈과 시간을 고려하여 당장 여행을 떠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서점 ‘가가77페이지’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을 통해 침체된 심신에 활력을 불어넣을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가가77페이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서관뿐만 아니라 서점에서도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을 알리며, 시민들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서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 진행하는 ‘2025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로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생각의 폭과 이해의 깊이를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데 있다”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를 바탕으로 연 뒤, 관련 철학 및 문학 서적을 통해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접근은 인문학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의 폭넓은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첫 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강연과 토론이 이어졌다. 영화의 주제인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에 대해 참여자들은 각자의 생각을 ‘나를 깨운 문장’, ‘내 목소리를 찾아본 순간’ 등의 항목에 적으며 깊이 있는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는 참여자들에게 현재의 삶을 되돌아보고 진정으로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 질문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주는 의미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질 만큼 참여하는 많은 분들을 만나는 것이 즐겁다”고 전했다. 그는 인문학이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학문이라 강조하며,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자신이 듣고 싶은 강연을 원하는 방식으로 들을 수 있는 좋은 선택지가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인공지능 발전 시대에도 인문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내다보며, 인문학적 사고 체계가 AI를 더욱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하게 하며 나아가 도덕적 사고까지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프로그램 참여자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길 위의 인문학’ 소식을 접하고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또한, 반복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강의 진행자 및 참여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박근주 씨는 더 나아가 동네 책방과 도서관을 연계한 인문학 수업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하며, 인문학이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깊어지는 분야인 만큼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참여 기회가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가가77페이지’는 망원시장 근처에 자리한 독립서점으로, 복합문화공간을 지향하며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있다. 책을 판매하는 것 외에도 책방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상명 대표는, ‘가가77페이지’가 다양한 문화를 담고 즐기며 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기를 바라고 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을 통해 조용했던 동네 책방이 활기를 띠고, 책과 길이 만나고, 저자와 독자가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이 열리고 있음을 ‘가가77페이지’에서의 만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처럼,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길 위의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다면,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삶의 지혜와 통찰을 얻는 풍성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