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우리 사회는 우리말의 올바른 사용과 외래어의 무분별한 혼용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외래어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우리말의 고유한 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의미 있는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사라져가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올바른 공공언어 사용을 촉구하며, 젊은 세대가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잔디밭에 설치된 부스에서 다채롭게 진행되었다. <우리말 가꿈이> 회원들은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이 우리말의 소중함을 느끼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이끌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지도에 표시하며 참가자들이 자신의 고향 사투리를 적어보는 활동을 통해 우리말의 풍요로움을 실감하게 했다. ‘겉절이’를 ‘재래기’로 표현하는 것처럼, 지역마다 고유한 어휘가 존재함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참가자들이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퀴즈를 진행하며 참가자들이 쉽게 우리말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했다. 몇 번의 실패에도 성공할 때까지 기회를 제공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이라는 단어가 가진 깊은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으며, ‘한’이 ‘크고 으뜸 되는’이라는 뜻을 지녔음을 배우며 한글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깨닫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꾸는 퀴즈를 통해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대체하는 연습을 했다. ‘누리소통망’, ‘언급’과 같은 순우리말 표현을 익히며 우리말 사용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참가자들은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증정하는 스탬프 투어에 참여하며 적극적으로 행사에 임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한글날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보존하려는 젊은 세대의 노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우리말 가꿈이> 회원들의 열정 덕분에 한글날의 의미를 되새기고 우리말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깨닫는 귀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10월 한 달간 다양한 한글날 기념행사가 열릴 예정이며, 이는 우리말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행사가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서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