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구매 시 작은 글씨로 빼곡하게 적힌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워 불편함을 겪는 소비자들이 많다. 특히 염색약과 같이 사용 전 유의사항이나 성분을 꼼꼼히 살펴야 하는 제품의 경우, 이러한 정보 가독성 문제는 소비자의 알 권리를 침해하고 안전한 사용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에서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확대 운영하며 소비자 편의 증진과 친환경 소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화장품 e-라벨’은 기존 화장품 패키지 뒷면에 작은 글씨로 인쇄되어 있던 제품의 필수 표기 정보와 부가 정보를 디지털 라벨, 즉 QR코드 형태로 제공하는 정책이다. 소비자는 휴대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여 제품의 명칭, 영업자 정보,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정보뿐만 아니라 보관법, 제품 품질 특성, 성분 정보 등 보다 상세한 정보까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존처럼 좁은 면적에 모든 정보를 욱여넣어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시력이 좋지 않은 소비자나 노년층의 경우 작은 글씨를 읽기 어려워하는 불편함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향후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되어 있어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대폭 향상시킬 전망이다.
실제로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에 돌입하며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품목에 대해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확인한 이후,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을 포함한 13개사 76개 품목으로 확대되었다. 소비자들은 “QR코드만 스캔하면 바로 상세 정보를 큰 글씨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특히 알레르기 성분이나 맞지 않는 성분을 확인할 때 유용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또한, 불필요한 포장지 인쇄 면적을 줄여 포장재 자원을 절약함으로써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친환경 소비를 촉진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화장품 e-라벨’은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의 경우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직 모든 화장품에 적용된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가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새로운 방식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유효기간의 제약 없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화장품 e-라벨’의 장점이다. 이러한 ‘화장품 e-라벨’의 확대는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안전한 화장품 사용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