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히 심화하는 기후 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예측 불가능한 복합 재난의 발생 빈도를 높이며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 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 사고는 기존의 재난 대응 방식으로는 한계에 봉착했음을 시사하며, 국가 차원의 패러다임 전환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를 강화하려는 정부의 국정과제 추진 기조에 발맞춰, 소방청은 기존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변화하는 재난 환경에 대한 선제적이고 혁신적인 대응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다.
새롭게 개편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 지원을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 개발 및 기획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소방 정책 수립에 인공지능 등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과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관련 기술 지원을 통해 현장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소방청은 이러한 조직 개편을 통해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하며, 이번 조직 개편이 미래 재난에 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