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쁜 일상에 치여 자신의 진정한 취향을 탐색하고 이를 삶의 활력으로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취향 고립’ 현상은 2030 세대가 겪는 정체성 혼란과 문화적 소외감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이 행사는 청년들이 자신의 문화적 취향을 발견하고 이를 타인과 공유하며 연결되는 경험을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행사의 첫 시작은 ‘탐색의 방’으로, 이곳에서 청년들은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탐색했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유형을 발견하는 과정은 청년들에게 오롯이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했다.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과 같이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선택지로 구성되어 있어, 자신만의 취향을 수집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어지는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자신의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의 고민을 종이에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다른 사람이 작성한 고민을 담은 종이를 받아 공유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와 같은 질문에 자신의 생각을 적고, 타인의 고민을 마주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은 자신만이 힘든 것이 아니라는 안도감을 얻었다. 낯선 이의 고민이 곧 자신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오며,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힘을 발견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실제 활동으로 연결하는 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부스를 마련해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인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들이 직접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공유하고 놓치고 있는 부분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출판계 현직자들과의 토크콘서트는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생생한 이야기를 들려주며,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영감을 주었다.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준 작가는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청년들의 진로 탐색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했다.
이번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청년 정책이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포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며 진정한 힘을 얻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