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은 ‘청년의 날’이다. 법정기념일로 제정된 이 날은 청년들의 권리와 자립, 그리고 성장을 응원하기 위한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올해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운영된 ‘청년주간’의 행사를 살펴보면, 단순히 기념하는 날을 넘어 청년들이 마주하는 현실적인 고민에 답을 제시하는 기회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처음에는 ‘청년의 날’이라는 명칭만으로 막연하게 딱딱하고 참여하기 어려운 행사일 것이라는 예상이 존재했다. 그러나 실제 행사 정보를 접하면서,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청년들이라면 누구나 깊이 공감하고 고민할 만한 주제를 다루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청년들을 위한 행사 정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을 수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누리집에서 ‘청년정책’이나 ‘청년센터’ 관련 메뉴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자체의 공식 SNS 계정을 통해 최신 소식을 받아볼 수도 있다. 더불어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는 ‘청년의 날’ 키워드 검색 또는 ‘청년의 날 + 지역명’ 조합으로 원하는 지역의 행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올해에는 서울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를 비롯해, 순천에서 로이킴 공연을 포함한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 안성시에서는 개그우먼 김영희 토크콘서트와 안성 청년가왕 행사 등이 포함된 <안성청년 쉴래말래?> 청년 축제와 같이 각 지역의 개성이 담긴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운영되었다.
특히 서울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 직접 참여한 경험은 이번 청년주간 행사의 의미를 더욱 깊게 만들었다. 미디어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등을 연출한 김태호 PD의 강연이 특별한 기회가 되었다. 9월 18일 평일 저녁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김태호 PD의 강연을 듣기 위해 객석은 발 디딜 틈 없이 청년들로 가득 찼다. 긴 시간 진행된 강연 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내용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분석이었다. 방송국 중심에서 벗어나 플랫폼이 다양화된 현 상황 속에서 어떻게 콘텐츠를 기획하고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김태호 PD의 통찰은, 비록 PD는 아니더라도 같은 미디어 산업 분야를 준비하는 많은 청년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현장에는 기자, 작가,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언론·미디어 분야를 꿈꾸는 청년들이 함께 자리했으며, 함께 고개를 끄덕이고 웃으며 소통하는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더욱이 이번 강연에는 수어 통역이 제공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정보에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려한 점은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이러한 청년의 날 행사는 진로에 대한 불안감, 특히 치열한 경쟁 앞에서 위축될 때,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 작년에도 ‘위라클’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박위의 강연을 통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자신만의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큰 영감을 얻었던 경험은, 청년의 날이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실질적인 도움과 동기 부여를 제공하는 날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청년의 날은 단순히 하루를 기념하는 것을 넘어,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이 잠시 멈춰서 ‘나는 누구인가’, ‘무엇을 원하는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소중하고 의미 있는 시간이다.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다양한 행사들을 통해 관심 분야의 강연을 듣거나 부스를 체험하는 활동은 청년들에게 좋은 추억과 더불어 깊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양질의 강연과 프로그램을 찾아 참여함으로써, 진로에 대한 막막함이나 새로운 영감이 필요한 청년들이 뜻깊은 시간을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