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시한(8월 1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한국 경제 성장률이 크게 오르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25%)가 유지될 경우 수출 급감과 원화 가치 급락 등 복합 충격이 우려되는 반면, 일본과 유사한 수준(15%)에서 타결되면 경제 반등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2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올해 한국 경제가 0%대 성장이라는 침체 국면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예측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소폭 상향된 수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대 성장에도 미치지 못하는 낮은 성장률은 한국 경제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시사한다.
IMF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올렸지만,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로 전망하며 7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이러한 전망은 우리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한국 경제가 현재 겪고 있는 저성장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마련될 경우, 상당한 회복세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했으며, 내년은 3.1%로 전망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에는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역시 1.6%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신흥개도국 그룹의 성장률 또한 상향세를 보였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 요인이 여전히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을 제시했다.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경제 역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IMF는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긍정적인 시나리오가 실현된다면, 한국 경제의 회복 탄력성은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MF의 이번 전망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저성장 문제를 극복하고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개선 노력과 더불어 글로벌 경제 환경의 긍정적인 변화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