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제시했던 수치보다 0.1%p 상향 조정했다. 더불어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올해 전망치보다 대폭 높은 수치를 유지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전망은 최근 국제통화기금이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담겨 있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은 글로벌 경제 전반의 개선 가능성을 배경으로 한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높였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역시 지난 전망치보다 0.1%p 높은 1.6%로 수정되었으며, 신흥개도국 그룹의 성장률 역시 상향 조정되는 등 전반적인 글로벌 경기 회복 기조가 감지된다.
특히 중국의 경우,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 및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와 4.2%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글로벌 경제의 주요 축 중 하나인 중국 경제의 안정적인 흐름이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IMF는 여전히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을 주요 하방 위험 요인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경제의 회복 경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는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하며 AI 도입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경우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국 경제 또한 이러한 글로벌 흐름 속에서 잠재 성장 궤도로의 복귀를 가속화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IMF의 이번 전망은 한국 경제가 당면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시 한번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지표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