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7월 제시했던 수치보다 0.1%p 상향 조정했다. 이는 현재 한국 경제가 직면한 성장 둔화라는 문제점에 대한 IMF의 진단이 담긴 결과로 해석된다. 더욱이 IMF는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의 성장률을 예측하며, 이는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한국 경제 주체들이 다양한 어려움에 양호하게 적응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분석된다.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 역시 0.2%p 상향 조정하여 3.2%로 예측했으며, 내년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을 통한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 향상,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IMF는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내년 역시 1.6%로 예측했다. 특히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2.0%, 2.1%로 상향 조정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을 4.2%, 내년은 4.0%로 전망했으며, 중국은 조기 선적 및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기존 전망 수준인 4.8%와 4.2%를 유지했다.
한편,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고물가라는 당면 과제가 점진적으로 해소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가능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거시 경제적 전망 속에서 한국 경제가 IMF의 긍정적인 성장률 전망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국내 경제 상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이에 기반한 효과적인 정책 대응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