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최근 한국어와 한글이 K-문화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면서, 이를 확산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세계 87개국에 운영 중인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어, 한글은 더 이상 한국만의 문자가 아닌 세계적인 문화의 통로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한글이 지닌 고유한 우수성과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깊은 사랑이 자리 잡고 있다.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명확하게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든다’는 훈민정음 머리글에는 백성을 향한 세종대왕의 숭고한 애민 정신이 담겨 있다. 이러한 한글의 인류애는 유네스코가 문맹 퇴치 공로자에게 수여하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으로 이어져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더 나아가, 우리 선조들의 헌신적인 노력 또한 한글이 민족 정신의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은 한국어 연구와 한글 맞춤법의 기틀을 다졌고, 조선어학회 회원들은 목숨을 걸고 우리 말과 글을 지켜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한글은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는 숭고한 유산으로 계승될 수 있었다.
현재 한국어와 한글은 K-팝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며 K-문화 확산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튜브와 소셜 미디어에서는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기려는 젊은이들의 모습이 일상화되었다. 이에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한글의 창의성과 우수성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하여 한글의 활용 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나아가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는 등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한국어 및 한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세계 문화 교류의 중심축으로 더욱 확고히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