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문화 시장에서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기록적인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이 작품은 기존 한류 현상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며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케데헌’의 성공 이면에는 단순한 인기를 넘어선, 한국 문화 산업이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화적 장벽’과 ‘정체성’에 대한 질문이 담겨 있다.
‘케데헌’은 한국이 직접 제작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글로벌 문화가 로컬을 전용한 사례’로 분류된다. 이는 ‘뮬란’이나 ‘쿵푸팬더’와 같이 세계적인 문화 콘텐츠가 특정 지역의 문화를 차용하여 재해석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하지만 ‘케데헌’은 이와 같은 현지화 전략을 넘어, 북미 지역의 한인 2세 작가와 제작진이 참여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러한 배경은 2022년 애플 TV의 ‘파친코’와 닮은 지점으로, 한국 문화의 오랜 서사인 무당 설화와 현대적인 케이팝 문화를 결합하여 서울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파친코’가 일제강점기 조선과 일본을 배경으로 실사 드라마를 제작하여 한국으로의 관광객 유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면, ‘케데헌’이 그려내는 서울의 모습은 향수와 호기심을 자극하며 새로운 관광객들을 불러들이는 동력이 되고 있다.
또한, ‘케데헌’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기존 한류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특히 소니의 ‘스파이더맨’ 애니메이션 기술을 적용하여 역동적인 캐릭터 움직임을 구현했으며,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텍스트 전략과 디테일한 일러스트, 그리고 케이팝이 가진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결합했다. 무엇보다 애니메이션은 ‘탈식민적 세계화’의 장벽으로 작용해왔던 비서구인의 몸에 대한 제약을 벗어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동안 케이팝은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인식 때문에 팬덤 영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으나, 애니메이션은 이러한 장벽을 허물거나 완화시켰다. 그림으로 표현된 캐릭터들은 인종적 편견 없이 전 세계 시청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코스프레 역시 용이하다.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진행할 정도로 케이팝 문화 속 캐릭터 산업이 발전하면서, ‘케데헌’의 캐릭터들은 세계관을 갖춘 채 글로벌 케이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낳고 있다.
케이팝 문화에서 ‘세계관’, 즉 그룹의 서사는 매우 중요하다. 서사는 그룹 간의 차별성을 부여하고 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핵심 요소다. 현재의 글로벌 문화 환경에서는 가치 지향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케데헌’은 인간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을 가진 주인공들과 함께하는 걸그룹, 보이그룹의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을 제시하며, 이는 기존의 서구적인 서사와는 다른 매력적인 스토리텔링으로 작용한다.
‘케데헌’의 개방된 서사 구조는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을 통해 확장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헌터스들이 세계 투어 중 현지의 ‘귀마’들과 싸우는 스토리는 다양한 로컬 버전의 콘텐츠를 창조해낼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한다. 더 나아가, ‘케데헌’은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북미의 한인 2세 제작자들이 ‘케데헌’에 녹여낸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은 글로벌 시장과의 효과적인 ‘문화적 중재(mediation)’를 가능하게 했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은 세계사를 한국인의 경험으로 포용하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으며, 이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케데헌’은 이처럼 한류가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하고 있다.
◆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한류 연구자로서 팬덤 온라인 참여관찰부터 데이터 분석까지 다양한 연구 방법을 거치며 기호학자로서 세상 속 의미 생산을 탐구해왔다. 저서로는 <세계화와 디지털문화시대의 한류>, <드라마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