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문화 산업에서 ‘로컬’이 ‘글로벌’을 전유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이러한 흐름의 정점에 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케데헌’은 단순히 해외에서 인기 있는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차원을 넘어, 한국 문화의 깊숙한 요소와 글로벌 트렌드를 융합하며 전에 없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는 평가다. 이는 한국 문화산업이 제작했다면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웠을 법한, 원본에 대한 집착 없이 극강의 소통 능력을 동원한 캐릭터의 매력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이 애니메이션의 성공 배경에는 ‘케데헌’이 해결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문제’들이 존재한다. 첫째, 기존 한류 현상이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장벽에 갇혀 팬덤 영역에 머물러 온 한계를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를 통해 극복했다는 점이다. 탈식민적 세계화의 장벽이었던 비서구인의 몸이라는 제약을 그림이라는 표현 양식을 통해 벗어던짐으로써, 인종주의적 복잡함 없이 전 세계 시청자들이 공감하고 코스프레까지 용이한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이는 플레이브, 이세계 아이돌 등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 해외 투어를 할 정도로 진전된 케이팝 문화 속 캐릭터 산업의 발전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케데헌’의 헌터스와 사자보이즈는 세계관을 갖춘 채 전 세계 케이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낳고 있다.
둘째, ‘케데헌’은 한국 문화의 오랜 ‘무당 서사’와 현재의 ‘케이팝’이라는 대중문화를 성공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글로벌 문화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서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가치 지향성이 중시되는 현 글로벌 문화 환경에서, 인간 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을 지닌 주인공들이 등장하는 ‘케데헌’의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 속 걸그룹과 보이그룹은 기존의 디즈니, 일본 애니메이션, DC 및 마블 유니버스 등과 차별화되는 매력으로 작용한다. 또한, 북미의 한인 2세 정체성을 지닌 원작자와 제작자들이 참여하여 만들어진 ‘케데헌’은 애플 TV의 ‘파친코’와 유사하게,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새로운 서사 자원의 존재를 일깨운다. 이는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이 세계사를 한국인의 경험으로 포괄하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만들어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케데헌’의 개방된 구조는 앞으로 한국 문화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 가능한 ‘케데헌’의 서사는 동시대적인 스토리 라인을 통해 무수한 ‘로컬 버전’을 생성해낼 잠재력을 지닌다. 이는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이 언급했듯, ‘케데헌’의 경우 북미 한인 2세 제작자들의 독특한 한국 문화 경험과 애정이 녹아들어 ‘문화적 중재(mediation)’가 가능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케데헌’은 한류가 단순한 문화 현상을 넘어, 한국의 미래와 한인 디아스포라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새로운 세계로의 문을 열고 있다. 2025년 8월 3일, ‘케데헌’의 흥행과 맞물려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굿즈샵에서 품절 사태를 일으킨 까치 호랑이 배지 현상은 이러한 문화적 파급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